일본 자동차의 대미 수출 관세가 27.5%에서 15%로 인하됐다. 반면 한국은 관세율을 15%로 낮추기로 미국과 7월 말 합의하고도 후속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는 바람에 자동차 대미 수출 관세가 여전히 25%로 유지되고 있다. 고관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로 벌써부터 한국차의 대미 수출이 줄고 있지만, 다행인 건 유럽연합(EU) 등 다른 지역 수출이 늘면서 전체 자동차 수출은 증가했다는 점이다.
일본산 자동차·부품의 대미 수출 관세가 16일부터 낮아진 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먼저 서명했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가 3500억 달러(약 483조 원)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해 미국과 의견 차를 해소할 때까지 한국차는 10%포인트의 가격 부담을 안고 미국 시장에서 일본과 경쟁해야 한다는 의미다. 관세 부담이 모두 차값에 반영될 경우 지금까지 1700달러 낮았던 현대차 쏘나타의 미국 판매가격은 경쟁 차종인 도요타 캠리보다 775달러 높아진다고 한다.
게다가 한국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누리던 ‘제로(0) 관세 프리미엄’까지 사라졌다. 미국과 FTA를 맺지 않아 2.5% 관세를 물던 일본·EU 차에 비해 한국차가 가졌던 상대적 강점 중 하나다. 현대차·기아는 이런 이점을 적극 살려 2021년부터 일본 혼다를 제치고 미국 시장 4위 자리를 지켜왔다. 관세를 물지 않아도 되는 현대차·기아의 미국 내 생산차량 비중이 일본 기업들보다 낮은 것도 부담이다.
다만 대미 수출이 작년 동월 대비 6개월 연속 감소했는데도, 지난달 한국의 전체 자동차 수출액은 1년 전보다 8.6% 증가했다. 8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다. 54% 급증한 대EU 수출을 비롯해 아세안·중동·호주 등의 시장에서 약진하면서 감소한 대미 수출을 벌충하는 것 이상의 성과를 올린 것이다. 현대차도 미국 조지아주에 지은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을 본격 가동해 현지생산 비중을 끌어올리는 방법으로 고관세 장벽을 극복할 계획이다.관세 협상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만, 시간에 쫓긴다고 미국 정부의 무리한 요구안에 무턱대고 사인할 수는 없는 일이다. 상황이 장기화하는 것까지 대비해 기업들은 가시적인 성과가 확인되고 있는 수출시장 다변화에 더 속도를 내야 한다. 또한 더 높은 가격으로도 해외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