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패가 결정되면 언제나 감독의 리더십이 도마에 오른다. 승부를 다루는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요소는 체력, 기술, 리더십이다. 리더십은 ‘사람을 통해 무언가를 성취하는 능력’이나 ‘밝은 미래를 보여주고 함께 갈 수 있도록 손을 잡아주는 능력’ 등 정의가 다양하다. 미국프로농구(NBA) 새크라멘토 킹스의 전 코치는 “선수들이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리더십은 시대의 거울이다. 그래서 정답이 없고, 상황에 따라 강조점이 바뀐다. 리더십 이론의 초창기에는 특성에 바탕을 둔 접근이 주를 이뤘다. 리더는 키가 크거나, 교육을 많이 받고, 심지어 잘생긴 사람이었다. 이른바 ‘그레이트 맨(great man)’ 이론이다. 이 이론은 리더의 전형은 보여주지만, 키가 작은 리더도 많고 무엇보다 리더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다. 또 산업화 시대에는 명령과 통제하는 리더십이 통했다면, 디지털 시대에는 소통과 공감이 더 긴요하다.
김 감독의 특정 선수에 대한 믿음은 아집이라 비난받았다. 프로야구 통산 1021승의 명장이지만, 한국시리즈 우승 없이 준우승만 다섯 번에 그쳐 물음표를 남겼다. 어쩌면 그는 과거의 성공 방식에 기댄 것으로 보인다. 리더십의 흐름은 ‘명령·통제형’에서 ‘관계·감정·의미형’으로 바뀌었고, 다시 ‘학습·적응·네트워크형’으로 변화했다. 그는 통제-관계-학습의 그 어디쯤에서 길을 잃은 것 같다.리더십은 라커룸이나 사무실을 가리지 않고 사람과 관련된 일이다. 때에 따라 선수에게는 완벽한 지시가 아니라 ‘믿음 받고 있다’는 확신이 중요하다. 그 힘으로 선수는 위기의 순간에 역경을 헤쳐 나간다. 그런데 그 믿음이 결과로 답하지 못할 때가 있다. 그렇다면 리더십의 핵심은 맥락과 타이밍을 아는 조율감각이 아닐까. 권위와 자율, 통제와 신뢰의 스위치를 언제 켜고 꺼야 하는지를 아는 능력이 본질 아닐까.
한국시리즈가 끝난 지금, 야구팬이든 직장인이든 이런 질문을 할 만하다. ‘나는 어떤 리더와 일할 때 성장하는가?’ ‘나는 어떤 방식으로 후배를 이끌고 있는가?’ 야구장의 리더십 문제는 일터에서도 낯설지 않다. 우리는 매번 최선이라 생각하는 결정을 내린다. 옳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 때로는 결과가 모든 것을 뒤집기도 한다. 회사라는 또 다른 라커룸에서 벌어지는 풍경을 김 감독은 보여줬을 뿐이다. 늦었지만 LG 팬에게는 축하를, 한화 팬에게는 응원을 보낸다.
유상건 상명대 스포츠ICT융합학과 교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6 days ago
6
![[광화문에서/조은아]韓 수출 사상 최대 실적이 마냥 달갑지만은 않은 이유](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3947.1.png)
![[이원홍의 스포트라이트]한화 김경문 감독 ‘믿음의 야구’ 딜레마](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2539.4.jpg)
![도시의 밤에 일어나는 일… 밤을 사는 이들의 연대[2030세상/박찬용]](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3919.1.jpg)
![인간 욕망 지운 주택정책 ‘프루이트 아이고’의 경고[기고/이승준]](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3923.1.jpg)
![초등학생 때 너무 많은 학원, 공부를 버겁게 해요[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3927.1.jpg)
![[고양이 눈]회복의 증거](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2507.4.jpg)
![파괴와 창조[내가 만난 명문장/박병성]](https://dimg.donga.com/wps/NEWS/IMAGE/2025/11/09/132733936.1.jpg)
![[만물상] AI 커닝](https://www.chosun.com/resizer/v2/K5H3H72UKRAAXMHCJTIIR5RBK4.png?auth=bea912f507e4aedfba737b8739f738af3cbe8142c2e49a71590482075488524e&smart=true&width=591&height=354)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