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0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복구 작업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로 가동 중단된 정부 정보시스템 복구율이 35%대를 기록 중이다.
이번 주 분진제거, 전기선로 작업 등이 속도 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시스템 복구 작업 역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오는 14일 예정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국정감사에서는 이번 화재 원인과 미흡한 재해복구(DR) 체계에 대한 현안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에 따르면 12일 오후 12시 기준 총 709개 시스템 가운데 249개가 복구돼 총 복구율 35.1%를 기록했다.
1등급 시스템은 총 40개 가운데 30개가 복구돼 복구율 75.0%를 기록 중이다. 2등급 시스템은(총 68개) 48.5%, 3등급(261개)·4등급(340개) 시스템은 각각 40.6%, 23.5% 복구율을 보이고 있다.
화재가 발생한 지 보름이 지난 가운데 정부는 그동안 복구에 주력했다. 특히 지난 추석 연휴 기간 960명에 이르는 대규모 인력을 투입해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기울였다.
그럼에도 아직 복구율이 절반에 못 미치는 이유는 화재 직접 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 정상화 속도가 더디기 때문이다.
특히 5층 전산실은 전체 절반에 달하는 시스템이 존재하고, 2~4층에 입주한 시스템과 연계된 것들이 많다. 이 때문에 5층 전산실 정상화가 진행돼야 시스템 전반 복구 속도도 높일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5층 전산실에 위치한 7, 7-1, 8 구역 모두 분진 제거 작업에 상당 시간이 걸리고 있다.
분진이 제대로 제거돼야 전기선로 작업 등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고 시스템 재가동 여부를 타진할 수 있다. 장비 곳곳에 깊숙이 침투한 먼지까지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 일일이 장비를 분해해 작업하다보니 이 과정에서 예상보다 시간이 더 소요됐다.
그나마 8구역이 최근 분진 제거를 완료하고 전기선로 작업을 거쳐 업무시스템 가동 준비에 들어갔다.
정부는 이번주 7전산실 분진 제거가 완료되면 시스템 복구 속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전소된 7-1구역 시스템 역시 대전센터 또는 대구센터 이전 구축 등 이번 주 내 구체적 복구 방안이 확정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시스템별 최적 이전·복구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피해 전산실(7, 7-1, 8) 정보시스템 이전 복구 계획. 자료=행안부한편, 오는 14일 예정된 행안부 국감에서는 화재 원인과 DR체계 미흡 등 이번 화재 관련 주요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위는 배터리 화재 관련해 현신균 LG CNS 대표,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를, 국정자원 DR 체계 등 질의를 위해 국정자원 전·현직 원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지난달 26일 발생한 화재 원인이 배터리 문제였던 만큼 배터리 교체 과정과 배터리 노후화 문제에 대한 질의가 집중될 전망이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4 weeks ago
13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