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행정안전위원회의 행정안전부 등 국정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는 배터리 이설공사 비(非)전문업체 선정부터 가이드라인 미준수 등 총체적 관리 부실에 따른 인재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4일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한 행정안전부 국정감사에서 화재 관련 배터리 이전 설치(이설) 업체 선정 과정에서의 문제점 등을 집중 추궁했다.
지난달 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는 5층 전산실 7-1구역에 있던 리튬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는 작업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이와 관련 고동진 의원(국민의힘)은 배터리 이설 작업이 고난도 전문성을 요함에도 전문성이 결여된 업체를 선정하고, 이 과정에서 경험 있는 업체를 선정하는 제한경쟁입찰이 아닌 일반경쟁입찰로 진행한 점 등을 지적했다. 〈본지 9월29일자 3면, 10월1일자 1면 참조〉
고 의원은 “화재 당일 감리업무 일지를 보면 배터리 충전량 확인, 랙별 전원 차단 여부 등 주요 사항은 누락된채 일반된 내용만 기입됐다”며 “이설공사가 체계 없이 이뤄졌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도 “배터리 이설 공사 관련 업체선정, 계약조건 등 여러면에서 특수성 고려가 부족했다”고 답했다.
박덕흠 의원(국민의힘)은 “공사 업체가 배터리 잔량 80%인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가이드라인을 지키지도 않았다”며 “감리역시 상주 감리인 3명 중 1명만 현장에 있었던 점을 미뤄봤을 때 단계마다 총체적 난국”이라고 지적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화재 피해를 입은 국가 정보시스템은 복구 여건과 대국민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최적 방식으로 복구가 이뤄지도록 하겠다”며 “재발방지 대책, 시스템 관리체계 재설계 방안 등을 관계기관과 함께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국정자원 화재는 14일 오후 12시 기준으로 시스템 복구율 40.5%를 기록중이다.
정부는 화재 직접 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 복구에 주력하고 있다. 5층 전산실 내 분진제거, 전기선로 작업 등을 마치고 장비 등이 입고되는 15일 이후부터 복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한다. 화재로 전소돼 최종 복구까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5층 7-1 구역 시스템은 대전·대구센터 등을 동시 활용하고 민간 기업과 협업해 복구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3 weeks ago
9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