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들이 교육 현장으로 복귀하겠다고 선언하자 환자단체들은 이를 환영하면서도 비판의 목소리 역시 함께 냈다. 그동안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집단행동으로 환자들에게 피해를 준 데 대해 반성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김성주 한국중증질환연합회 대표는 13일 성명을 통해 “장기화된 의료 공백으로 고통받은 수많은 환자와 국민 입장에서 의대생의 복귀 결정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결과”라며 “다만 이번 발표에서 자신들의 행위에 대한 반성과 환자·국민을 향한 사과가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김 대표는 “(의료계가) 앞으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협상 수단으로 삼지 않겠다는 원칙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국회 교육·보건복지위원회, 대한의사협회와 함께 발표한 입장문엔 의대생 잘못에 대한 반성의 표현은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입장문 발표에 앞서 김택우 의협회장이 두 차례 ‘국민께 죄송하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선 이를 두고 사태를 일으킨 의대생과 전공의 당사자가 아니라 선배 의사인 의협회장이 ‘대리 사과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회장은 “의대생들이 1년 넘게 수업을 거부하고 의사국가시험을 포기하면서 환자와 국민을 협상의 수단으로 삼았다”며 “필수·응급의료 현장에서 인력이 이탈해 많은 환자가 치료 기회를 놓치고 생명을 위협받았다”고 했다.
또 다른 환자단체인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4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이번 사태의 피해 당사자인 환자들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기자회견을 연다. 이 단체는 “환자 생명을 도구로 삼아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반인권적이고, 비윤리적인 의료계 행태에 침묵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