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소라 2' 저작권 침해 논란…미국영화협회, 즉각조치 요구

1 month ago 10
오픈AI. 전자신문DB오픈AI. 전자신문DB

미국영화협회(MPA)가 오픈AI의 동영상 생성형 AI 모델 '소라 2'의 저작권 침해 문제에 이의를 제기했다. 오픈AI가 저작권 침해 방지를 위해 도입한 '옵트아웃' 방식을 정면 반박하며 오픈AI에 즉각 조치를 요구했다.

7일(현지시간)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 등에 따르면 협회는 지난 6일 성명을 내고 “오픈AI의 '소라 2'가 저작권이 있는 콘텐츠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며 오픈AI에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오픈AI는 지난달 30일 소라 2를 공개하면서 원 콘텐츠 저작자가 별도로 콘텐츠 사용 금지를 신청해야 하는 옵트아웃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저작권자가 오픈AI에 자신의 저작물이 영상에 포함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직접 요청하도록 하는 것으로, 협회는 오픈AI 정책을 따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오픈AI는 '소라 2' 공개 열흘 전부터 연예기획사와 스튜디오에 이런 옵트아웃 절차를 알리기 시작했다. 위반 사례가 발견될 경우 신고할 수 있는 창구도 마련했다.

찰스 리브킨 MPA 최고경영자(CEO)는 성명에서 “소라 2 출시 이후 오픈AI의 서비스와 소셜미디어(SNS) 전반에서 우리 회원사들의 영화, TV 프로그램, 캐릭터를 침해하는 영상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블로그에 “저작권자들에게 그들의 캐릭터 사용 방식에 대해 보다 '세밀한 통제권'(granular control)을 부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자신의 캐릭터를 절대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저작권자들이 AI 사용을 직접 설정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어 올트먼은 “이 새로운 참여 방식이 그들에게 큰 가치를 가져다줄 것으로 생각한다”며 “자신의 캐릭터가 어떻게 사용될지(혹은 전혀 사용되지 않게 할지) 직접 지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리브킨 CEO는 “저작권 침해를 막을 책임은 저작권자가 아니라 오픈AI에 있다”며 “오래 확립된 저작권법은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이번 사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라고 반박했다.

생성형 AI 서비스 관련 저작권 문제는 최근 지속 이슈가 되고 있다.

지난 6월 할리우드 영화 스튜디오 디즈니와 유니버설은 AI 이미지 생성 업체 미드저니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 스튜디오는 미드저니가 자사 영화의 캐릭터를 무단으로 AI 학습 및 생성에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디즈니는 지난달 AI 스타트업 캐릭터.AI에 대해서도 “무단으로 저작권 캐릭터를 사용하는 행위를 중단하라”는 경고장을 발송한 바 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