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쇼핑에서 금융·로컬·콘텐츠 등으로 외연을 넓혀온 네이버가 인공지능(AI) 에이전트로 생태계를 통합하는 '슈퍼앱' 청사진을 공개했다. 청사진의 핵심키는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 'Agent(에이전트) N'이다. 한국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데이터를 다수 확보한 네이버만의 강점을 극대화한 전략이다.
김범준 네이버 COO(최고운영책임자)는 6일 개최된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DAN25에서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사용자 경험의 진화’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AI 시대를 맞아 네이버는 ‘에이전트 N’으로 고도화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전트 N이 구현할 핵심은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가 하나의 서비스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심리스한 경험’이다. 사용자가 직접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지도·캘린더·예약·콘텐츠 등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의 탐색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필요할 때 제안하고 실행한다.
초개인화 서비스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는 데이터다. 데이터의 결합이 정교할수록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고도화되기 마련. 검색을 넘어, 쇼핑, 예약, 지도, 금융 등 각 영역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확보한 네이버로서는 준비 기반을 찬찬히 다져온 셈이다. 네이버는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 로그를 통합 분석하고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제안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관심사와 패턴을 종합적으로 이해해 ‘페르소나’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해 가장 적합한 정보와 액션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에이전트 N은 단순히 추천이나 제안을 넘어, 실제 행동까지 연결할 수 있는 ‘실행형 에이전트’를 지향한다. 예를 들어 내년 여름 출시 예정인 신규 서비스 ‘AI탭’에서 ‘초보자 러닝코스’를 입력하면 플레이스·카페·블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련 코스와 후기 정보를 보여준다. 동시에 러닝 전문 인플루언서를 구독하거나 ‘체온 유지에 좋은 윈드브레이커’ 등 개인화된 상품을 탐색·구매할 수도 있다. 이때 구매 과정에는 ‘쇼핑 에이전트’가 자연스럽게 연동된다.
네이버가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가능한 에이전트를 구상할 수 있는 이유는 검색·쇼핑·로컬·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강력한 서비스 생태계를 보유해서다. 외부 제휴나 플랫폼 연동 없이도 ‘바로 실행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은 네이버의 경쟁력이다.
AI 에이전트가 잘 구동되기 위해선 신뢰성 높은 데이터도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메타데이터를 활용한다. 에이전트가 참조하고 이용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단순 크롤링으로는 얻을 수 없는 정보다. 이를 통해 AI가 참고하는 콘텐츠가 실제 사용자의 경험 기반인지, 혹은 자동 생성된 데이터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네이버는 실구매자·실예약자만 작성 가능한 리뷰, POS 시스템과 연동된 실시간 예약 현황, 판매자와 직접 연결된 재고 정보 등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검증 가능한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한 것.
김 COO는 “이러한 신뢰 자산이야말로 AI 에이전트 시대의 필수 조건”이라며 “네이버는 가장 믿을 수 있는 에이전트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4 days ago
3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