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희토류 밸류체인 구축에 첨단 제조업 운명 걸렸다

6 days ago 4

입력2025.11.03 17:32 수정2025.11.03 17:32 지면A31

‘양국 관계를 전면 복원했다’는 대통령실 자평처럼 지난 주말 한·중 정상회담에서 적잖은 성과가 있었지만 몇몇 아쉬운 대목도 있다. 산업계의 불안감이 커질 대로 커진 ‘희토류 공급’ 문제의 합의가 나오지 않은 점이 대표적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정상회담 전 중국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은 공급망 핵심 파트너’라며 원자재 수급 문제가 주요 의제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희토류 등은 단기간에 결론낼 수 없는 복잡한 사안”이라며 퉁친 어제 여당 브리핑처럼 구체적 성과를 내지 못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정상회담 직후 브리핑에서 “협력하기로 했다”는 한 마디로 넘어갔다.

희토류는 희귀한 광물자원을 넘어 국가 안보와 미래 산업을 좌우하는 전략물자로서의 중요성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수출통제 1년 유예’를 얻기 위해 미국이 ‘추가 관세 100% 철회’ 카드를 제의하며 낮은 자세를 보인 데서 잘 감지된다. 각국의 희토류 확보전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년 내 희토류는 더 이상 문제 되지 않을 것”이라며 총력전 태세다. 유럽연합(EU)도 “중국과 고위급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모든 수단을 동원한 공동 대응을 천명했다.

우리는 4년 전 요소수 사태를 시작으로 중국의 원자재 무기화 전략에 큰 피해를 보고 있는데도 상대적으로 느슨하다. 산업통상부 차관을 단장으로 한 ‘범정부 희토류 공급망 TF’는 지난달 중순에야 발족했다. 희토류 개발 예산을 367억원에서 내년 710억원으로 늘리고 2500억원 규모 투자펀드도 조성했지만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인도만 해도 2억900만달러이던 희토류 관련 지원 예산을 최근 7억8800만달러로 대폭 늘렸다.

미·중 무역 휴전으로 완화됐다지만 희토류 갈등은 언제든 재점화할 이슈다. 미국이 일본 영국 호주 등과 희토류 동맹을 서두르는 배경이다. 일본을 벤치마킹하는 등 더 적극적인 대응이 시급하다. 2010년 센카쿠열도 분쟁 때 희토류 수출금지 조치를 당한 일본은 바로 다음달부터 종합대책에 착수해 중국 다음으로 밸류체인을 잘 구축한 국가가 됐다. 한국도 비상한 각오로 가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