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는 AI 모델 개발과 데이터센터 확장에 필수적인 GPU를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첨단 사양의 경우 한 개에 수천만 원을 호가하지만 오픈AI·구글·아마존 같은 글로벌 빅테크들이 사려고 줄을 서면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국내 기업과 연구소, 대학들이 AI 모델을 개발하고 싶어도 GPU가 없어 애를 먹었던 이유다. 하지만 엔비디아의 ‘경주 빅딜’로 한국이 보유하는 AI용 GPU는 30만 개 이상으로 대폭 늘어나 세계 3위 수준으로 올라선다.
엔비디아가 공급하는 최신형 GPU 26만 개 중 5만 개는 국내 독자적 AI 모델 개발 등을 위해 스타트업, 연구기관, 대학 위주로 투입된다고 한다. 나머지는 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차그룹, 네이버가 나눠 갖는다. 엔비디아는 삼성·SK와는 반도체 AI 팩토리를 설립하고 현대차와는 30억 달러를 공동 투자해 AI 기반의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에도 나서기로 했다. 반도체·자동차 등에서 이미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대표 기업들이 엔비디아와의 협업을 통해 AI 경쟁력을 한층 더 끌어올릴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AI발 새로운 산업혁명의 무대로 한국을 낙점한 황 CEO는 31일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한국은 AI와 관련해 ‘풀 스택’(전 단계 공정)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한국이 글로벌 AI 선도국이 될 것”이라고 했다. 우리 기업들은 AI 혁명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의 생태계에 올라탄 만큼 자율주행, 로봇, AI 반도체, 6G 등에서 세계 우위에 설 기회를 잡아야 한다. 국가 대항전으로 확대되는 AI 경쟁에서 밀리지 않으려면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와 인재 육성, 기술 생태계 조성 같은 전방위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 AI 주도 성장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와 취약한 인프라를 개선하지 못하면 힘들게 얻은 AI 동맹의 기회도 물거품이 될 것이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1 week ago
5
![[만물상] AI 커닝](https://www.chosun.com/resizer/v2/K5H3H72UKRAAXMHCJTIIR5RBK4.png?auth=bea912f507e4aedfba737b8739f738af3cbe8142c2e49a71590482075488524e&smart=true&width=591&height=354)
![[기고] AI 제조 혁신의 성패, 내재화·생태계 구축이 가른다](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