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세안 이어 경주 APEC…격변기 헤쳐갈 다자 외교 리더십 기대

2 weeks ago 10

입력2025.10.24 17:19 수정2025.10.24 17:19 지면A23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내일(26일) 말레이시아로 출국한다.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로서 협력 필요성이 커진 아세안 정상회의에 이어 31일부터 이틀간 경북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린다. 국제 외교·안보 질서와 통상 환경이 급변한 가운데 이른바 ‘다자 정상회의 슈퍼위크’가 시작되는 것으로, 국익 중심 실용주의를 앞세운 이재명 정부의 외교력이 본격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특히 경주 APEC 정상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잇따른 방한 발표로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회의 기간에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30일)은 양국이 벌이는 패권 전쟁의 향배를 가늠할 분수령이 될 수 있다. 양국 정상이 어떤 대화와 합의를 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외교·안보 틀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한·미 정상회담(29일)과 한·중 정상회담(11월 1일)의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 없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두 번째 대면 정상회담에서는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협상을 실질적으로 매듭짓는 능숙한 협상력이 필요하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관련한 공조와 기존 안보 협력을 약화하지 않는 동맹 현대화도 핵심 현안이다. 11년 만에 성사된 시 주석의 방한 정상회담에서도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중국의 일방주의가 초래한 양국 관계 악화를 정상화하되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호혜성 원칙 확립이 급선무다. 북한 비핵화에 대한 우리 입장을 명확히 전달하고 서해 구조물 설치의 부당성도 지적해야 한다. 일정을 논의 중인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와도 조속히 만나 신뢰 기반을 다져야 한다.

경주 APEC 2025의 주제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연결, 혁신, 번영’이다. 하지만 지금 세계는 신냉전 구도가 나타나고 자유무역 질서가 위협받는 격변기로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형국이다. 이럴 때일수록 양자·다자 외교의 보폭과 반경을 더 넓혀서 국익을 지키는 리더십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아세안 정상회의와 APEC 정상회의로 이어지는 ‘다자 정상회의 슈퍼위크’를 국운 융성의 새로운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