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심상찮은 물가, 환율 상승·확장 재정 등 불안 요인 많다

4 days ago 4

입력2025.11.05 17:26 수정2025.11.05 17:26 지면A31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작년 같은 달보다 2.4% 뛰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9월 2.1%에 이어 두 달 연속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를 넘어섰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계속해서 2%를 웃돌 경우 한은이 경기 회복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하기 어렵고 상승폭이 더 커지면 기준금리를 오히려 인상해야 할 수도 있다.

정부는 긴 추석 연휴로 여행 관련 서비스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콘도 이용료는 26.4%, 렌터카 임차료는 14.5%, 해외 단체 여행비는 12.2% 뛰었다. 하지만 외식 물가가 3.0%, 가공식품 물가도 3.5% 올랐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 전반에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진 건 사실이다. 최근 서울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폭등하면서 전·월세 가격이 치솟고 있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물가 걱정을 키우는 더 큰 요인은 상승세를 타고 있는 환율이다. 원·달러 환율은 그제 9원10전 오른 데 이어 어제도 11원50전 뛰어 1450원 근처까지 치솟았다. 환율이 뛰는 건 기본적으론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달러 강세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서학개미’가 미국 등 외국 주식 매수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으며 최근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증시에서 대규모 순매도에 나선 것도 겹쳤다. 앞으로 매년 최대 200억달러를 미국에 보내야 한다는 점도 원화 약세를 부추기고 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 물가를 밀어 올려 최종적으로 소비자물가를 뛰게 한다. 소비자들의 가처분소득을 줄이고 안 그래도 집값 때문에 운신의 폭이 줄어든 통화정책 발목을 잡을 공산이 크다.

물가와 환율을 잡으려면 기본적으로 통화량 조절이 필요하다. 특히 비생산적 분야 재정이 풀리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정부는 부인하고 있지만, 현장에선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데 적잖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진단이 많다. 또한 환율이 국가 경쟁력의 거울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을 가속화해 나가야 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