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3개월을 초과해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이 258만 명(지난해 11월 1일 기준)을 넘어섰다고 한다. 행정안전부가 국가데이터처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우리나라 총인구(5180만5547명)의 5.0%에 해당하는 규모로, 사상 최대치다. 전국 17개 시·도 중 인구가 여섯 번째인 경북(257만8999명)보다 많은 수준이다.
우리 사회는 이미 곳곳에서 외국인이 없으면 제대로 돌아갈 수 없을 정도로 다인종·다문화 사회가 됐다. 조선업, 건설 현장, 중소기업체와 같은 산업 현장은 물론 대도시 음식점, 지방 농가도 외국인 의존도가 막대하다. HD현대삼호 조선소가 있는 전남 영암군 삼호읍은 전체 인구(3만여 명)의 30%가 넘는 1만여 명이 외국인이다. 한화오션은 직원 안전교육 교재를 베트남어, 네팔어, 중국어 등 7개 언어로 만들고 있다. 경기 안산시와 충북 음성군은 외국인 비중이 15%를 넘어 ‘국경 없는 마을’로 불린다.
외국인 영향력을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교육계다. 외국인 유학생이 없으면 정원을 못 채우는 지방대학이 부지기수다. 서울에 있는 대학원들도 유학생을 빼면 운영이 어렵다. 지난해 외국인 증가의 세부 내역을 보면 유학생이 13%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국내 체류 외국인들이 호소하는 한국살이의 가장 큰 문제점은 차별과 생활 불편이다. 외국인을 바라보는 내국인의 시선이 개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출신 국가별 차별은 여전하며, 외국인을 ‘수단’으로 여기는 인식에도 큰 부담을 느낀다고 한다. 저출생 고령화에 시달리는 우리로서는 앞으로도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을 더 늘릴 수밖에 없다. 이들에 대한 사회·문화적 통합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면 유럽과 같은 이민자 갈등에 휩싸일 소지가 얼마든지 있다. 이민 정책을 노동력 유치 중심에서 체류, 영주, 귀화 등 전 과정의 통합 정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 설립이 시급하다.

1 week ago
8
![[기고] AI 제조 혁신의 성패, 내재화·생태계 구축이 가른다](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