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아도[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79〉

1 week ago 6

“내가 말했잖아. 달은 달이라고.”

―변성현 ‘굿뉴스’


“진실은 간혹 달의 뒷면에 존재한다. 그렇다고 앞면이 거짓은 아니다.” 영화 ‘굿뉴스’는 아무개(설경구)라 불리는 정체불명의 해결사가 공군 중위 서고명(홍경)에게 하는 선문답 같은 이야기로 시작한다. 때는 1970년. 일본의 한 공산주의 단체는 민항기를 납치해 평양으로 가려 한다. 아무개는 이를 저지하고자 국내 관제사인 서고명을 통해 평양의 관제사인 척 납치범들을 속인다. 결국 김포공항에 비행기를 착륙시켰지만, 그곳이 서울이라는 걸 알게 된 납치범들은 자신들을 보내주지 않으면 자폭하겠다고 위협한다.

의도적인 과장 연출로 그려진 코미디인지라 이런 황당한 일이 있었을까 싶지만, 놀랍게도 이 이야기는 1970년 실제 벌어졌던 ‘요도호 납치 사건’을 소재로 했다. 영화 속 서고명 중위, 볼모가 돼 인질들을 구한 신이치 차관은 실존 인물을 모델로 만든 캐릭터다. 영화는 요도호 납치 사건의 이면에서 벌어졌을지도 모를 일들을 코믹한 상상으로 채워 넣었다. 앞에 보이는 달이 아닌 그 뒷면에 존재할지도 모르는 진실을 말이다.

결국 인질 구출에 공을 세운 서고명 중위는 훈장을 받을 꿈에 부풀지만, 그 꿈은 미국과 소련의 관계가 화해 분위기를 맞으며 산산조각 난다. 남북 대결 구도를 원치 않는 미국의 압력으로 없었던 일로 덮어진 것. 분통을 터뜨리는 서고명 중위에게 아무개는 말한다. “내가 말했잖아. 달은 달이라고. 누가 꼭 이름을 불러줘야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누가 꼭 알아줘야 의미가 생기는 것도 아니야. 네가 한 일 그 자체로 충분히 의미가 있어.” 어쩌면 세상의 많은 일들은 보이지 않는 아무개들의 노력에 의해 바뀐 건 아닐까. 그들이 아무개라 불리며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없는 건 아닐 게다. 앞면이든 뒷면이든 달은 달이니까.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