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생물학계의 ‘칼리굴라’

1 hour ago 1

▶1953년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25세 연구원 제임스 왓슨이 킹스칼리지 연구원 모리스 윌킨스를 찾아갔다. 왓슨은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자가 DNA 구조를 알아냈다고 주장한 논문의 사전 인쇄본을 들고 미국에 뒤져선 안 된다고 윌킨스를 설득했다. 결국 윌킨스는 동료 연구원 로절린드 프랭클린이 찍은 DNA의 X선 회절 사진을 몰래 보여줬다. 왓슨에게 결정적 확신을 준 증거로 밝혀진 이른바 ‘51번 사진’이다.

▶이를 힌트 삼은 왓슨과 동료 프랜시스 크릭은 철사와 금속판으로 DNA 입체 모형을 만들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 이중나선 구조를 찾아냈다. 이들은 학교 복도와 술집을 누비며 “우리가 DNA의 구조를 알아냈다”고 소리쳤다. 한 달 후 네이처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논문이 게재됐다. ‘우리는 DNA의 구조를 제창하고자 한다’로 시작하는 900단어 분량의 짧은 논문으로, DNA 구조는 두 가닥이 연결된 이중나선임을 규명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