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한국디지털문서플랫폼협회가 주최한 '디지털문서 플랫폼 콘퍼런스 2025'가 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손찬주 한글과컴퓨터 이사가 'AI가 만든 새로운 문서 생태계: 한글과컴퓨터가 준비하는 지능형 문서 플랫폼의 시대'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성공적 인공지능 전환(AX)과 디지털 전환(DX)을 위해선 디지털문서 체계부터 제대로 확립해야 한다는 전문가들 제언이 이어졌다.
전자신문과 한국디지털문서플랫폼협회가 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개최한 '디지털문서 플랫폼 콘퍼런스 2025'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AI 시대에 발맞춰 양질 데이터를 양산·활용하기 위해 디지털 문서 플랫폼과 체계를 제대로 갖춰야 한다는점을 강조했다.
최영철 한국디지털문서플랫폼협회장은 개회사에서 “AX와 DX는 세계 각국이 앞다퉈 경쟁력을 강화하는 분야”라며 “성공적 AX·DX를 통해 디지털경제·AI 강국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문서 플랫폼이 공공, 금융, 기업에 제대로 정착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모든 시스템과 기술이 AI 기반으로 빠르게 변하는 상황에서 데이터 품질과 신뢰성 중요성도 더 높아졌다”며 “디지털문서는 ESG 경영실천 근간이자 디지털 생태계 토대로서 필수인 동시에 AX·DX 시대를 준비하는 중요 기반이 되는 만큼 플랫폼과 산업이 자리잡도록 업계가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이번 행사 주제 역시 'AX/DX 스타트 위드 디지털 도큐먼트 플랫폼'으로 AX·DX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문서 중요성과 다양한 활용 방안·전략 등이 제시됐다.
한글과컴퓨터는 'AI가 만든 새로운 문서 생태계:한글과컴퓨터가 준비하는 지능형 문서 플랫폼의 시대'를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차세대 AI 문서 기술의 방향성과 기술을 공유했다.
포시에스는 'AI 에이전트와 클라우드 전자문서/전자계약'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공공, 금융 등 다양한 적용 사례를 구체적으로 발표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AI 에이전트 관련 자동화된 계약 효력 규정 및 컴플라이언스 적용'을 주제로 지난해 발표된 자동화된 계약모델법(MLAC)과 적용 사례 등을 설명했다.
전자신문, 한국디지털문서플랫폼협회가 주최한 '디지털문서 플랫폼 콘퍼런스 2025'가 6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렸다. 관람객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오후 발표 세션에서는 유니닥스, 한국정보인증, 인젠트, KB신용정보, 모두싸인이 주요 트렌드와 핵심 솔루션 등을 공유했다. 별도 전시공간에서는 이들 기업의 전자문서 솔루션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도 제공됐다.
행사장에는 500여명이 넘는 관계자들이 참여해 행사끝까지 자리를 지키는 등 디지털문서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
정부도 AX·DX를 위한 디지털문서가 활성화되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정부가 '종이 없는 행정 구현'을 내세웠지만 원본 문서 개념에 전자문서가 포함되지 않았다”며 “전 부처 걸쳐 총 46개 법령에 일괄 적용해 전자문서도 원본문서 개념에 포함되도록 법률 정비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엄 정책관은 “AX·DX를 위해 데이터 정제 작업이 필수이고 정부도 이 부분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내년에는 전자 모바일, 전자 증명 확산 사업을 새롭게 추진하고, 전자문서 플랫폼이 AX·DX 지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이 필요한 부분도 꼼꼼히 살펴보겠다”고 덧붙였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3 days ago
2

![[우리가 AX 주역]〈71〉클라이온, 공공 AX 혁신의 실전형 파트너로 우뚝](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bc59d8e9fa774241ace14e3ba38752cd_P1.pn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