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1일은 ‘농업인의 날’이다. 산업화로 점점 흙에서 멀어진 현대인들은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농정사상을 통해 농업의 본질적인 가치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정약용은 농업이 곧 나라의 근본이라 믿었다. 이를 위해 삼농(三農)의 원칙, “무엇보다 농사짓기가 수월해야 하고(便農), 농업의 수익성이 높아야 하며(厚農), 농민의 지위가 향상돼야 한다(上農)”고 외쳤다. 이러한 사상은 2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기술이 진보해도 음식 섭취는 첨단산업이 대체할 수 없다. 식탁 위에 오르는 한 그릇의 밥은 누군가의 땀과 기다림으로 자란 결과물이다. “농업을 바로 세우는 것이 곧 나라를 바로 세우는 일”이라는 정약용 선생의 말을 되새겨 볼 때다.
※동아일보는 독자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각 분야 현안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휴대전화 번호 등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김학수 농협중앙교육원 교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3 days ago
3
![[기고] AI 제조 혁신의 성패, 내재화·생태계 구축이 가른다](https://static.hankyung.com/img/logo/logo-news-sns.png?v=20201130)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