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나영의 교실, 그리고 경제학] 모의투자 1등과 꼴등, 공통점은

1 week ago 5

입력2025.10.31 17:31 수정2025.10.31 17:31 지면A21

[김나영의 교실, 그리고 경제학] 모의투자 1등과 꼴등, 공통점은

2080. 20개의 건강한 치아를 80세까지.

이를 닦다가 문득 눈에 띈 문구다. 100세 시대에 80세까지가 웬 말이야. ‘20200’은 돼야지. 1990년대 치약 카피 문구로 만들었을 땐 2080이 충분하다고 생각했을까.

아침마다 주차 전쟁이 일어난다는 서울 압구정현대아파트. 지을 때 왜 부족할 것이란 생각을 못 했을까. 1970년대 건설 당시엔 지상 주차 공간도 뭐 하러 필요 없는 공간을 만드냐며 핀잔을 들었단다. 마찬가지로 올해 초 코스피지수 4000도 예측하지 못했다.

미래를 미리 알면 투자하기 얼마나 좋을까. 부자 되는 게 식은 죽 먹기일 게다. 분당 땅, 비트코인, 금…. 몇 년 전 방영된 드라마 ‘재벌 집 막내아들’의 주인공 진도준은 이런 우리 마음을 대신 충족시켜줬다.

투자 공부, 투기 자극해선 안돼

지난 8월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에서 어린이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 주최 캠프가 열렸다. 어린이들이 모의투자를 해보고 있다. /한경DB

지난 8월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에서 어린이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 주최 캠프가 열렸다. 어린이들이 모의투자를 해보고 있다. /한경DB

필자는 수업 시간에 ‘내가 진도준이라면, A 혹은 B’를 만들었다. 당시 상황을 드라마 장면 혹은 실제 영상 사료로 편집해 보여줬고 이후 당시 신문 기사, 통계청 자료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왔다. 가발 운동화 등 한국의 노동집약적 경공업에서 2000년대 초 신용카드 사태까지…. 경제 발전의 흐름과 함께 주식, 채권, 이자, 인플레이션 개념을 알아가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됐다. 가상의 모의투자인 셈이지만 진짜 ‘돈 버는 일’처럼 열심히 했다.

“역시 이번엔 반도체가 되는 때였어. S전자에 ‘몰빵’ 한 게 신의 한 수였지!”

“이젠 비트코인이다.”

들려오는 아이들의 대화. 아니 이건…, 내가 ‘투자’가 아니라 ‘투기’를 가르치고 있는 게 아닌가. 과거를 알고 투자하다 보니 이런 문제가 발생했다. 박사과정에서 ‘자산관리 세미나’ 수강할 때가 기억났다. 당시 언론의 투자 추천 기사 분석을 위해 그 시점에서 5년 전 기사들을 찾았다. 당시 주목받는 기업으로 보도된 곳들. 그때의 주가와 5년 후 주가를 비교했다. 신문에서 추천했을 당시가 주가 정점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대박이 날 수도 있지만 쪽박이 될 수도 있다는 거다. 특정 기업에 투자해 엄청난 수익을 냈다는 친구, 암호화폐에 투자해 건물주가 됐다는 직장동료. 주변에는 투자 성공담이 들린다.

분산투자·포트폴리오 배워야

2080이 충분치 않은 시대. 은퇴 후 삶이 길다는 걸 생각하면 더더욱 이래선 안 된다. 장기적 관점에서 위험을 분산하는 포트폴리오 투자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은 뭐가 있을까. 방법을 찾았다. ‘내가 진도준이라면’ 모의투자에서 수익률 1위 모둠과 꼴찌 모둠을 함께 찾는 것. 1위와 꼴찌는 전략이 거의 비슷하다. 몰빵 전략. 장기적으로 꾸준히 안정적인 수익률을 얻는 건 역시 다양한 자산과 종목에 나눠 투자하는 포트폴리오 투자다. 대부분의 모의투자 게임에 적용된다. 어릴 때 하던 부루마블 게임도 그렇지 않던가.

최근 몇 년 사이 투자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늘었고, 사용하는 체크카드 앱에서 모의투자를 경험하는 경우가 꽤 많아 투자에 관심이 높다. 자칫 잘못해서 과도한 수익률을 좇는 방향의 투기 교육이 되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몇몇 친구와 함께한다면 수익률 1등과 꼴등의 공통점 ‘몰빵’을 확인하고 토론하는 걸 추천한다. 꾸준히 수익률 편차가 적으면서 안정적인 쪽을 찾을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마련해보는 것도 좋다. 인생은 장난이 아니니까. 토론하며 스스로 느낀다. 20200까진 아니더라도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서 어떻게 벌고, 모으고, 투자해야 하는지.

김나영 서울 양정중 교사, 작가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