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포가 스페인어로 K콘텐츠 틱톡 올렸더니…남미서도 '대박' [인터뷰]

5 days ago 5

지난 10월 2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열린 '틱톡 어워즈 2025'에서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상을 수상한 릴리언니가 수상 소감을 전하고 있다. 사진=틱톡

지난 10월 2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열린 '틱톡 어워즈 2025'에서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상을 수상한 릴리언니가 수상 소감을 전하고 있다. 사진=틱톡

"틱톡은 '글로벌 복도' 같아요. 각자 반에서 생활하다가 쉬는 시간 되면 복도에 다 나와서 서로 반 얘기를 하는 것처럼 각국 트렌드가 활발히 공유되거든요."

266만 팔로워를 보유한 틱톡커 '릴리언니'는 지난달 말 서울 성북구 고려대 화정체육관에서 가진 한경닷컴과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했다.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 선호도 기반으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식을 틱톡이라는 플랫폼의 '강점'으로 꼽은 것이다. 스페인어로 콘텐츠를 발행하는 릴리언니는 국내보다 스페인어 언어권인 남미에서 각광받고 있다.

릴리언니는 이날 열린 '틱톡 어워즈 2025'에서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해외 팬들에게 알린 공로로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상'을 받았다. 릴리언니는 아르헨티나 교포 출신으로 K콘텐츠를 스페인어로 소개하며 인기를 얻었다. 글로벌 숏폼 플랫폼인 틱톡이 K콘텐츠의 확산 통로가 된 셈이다.

팔로워 266만1000명을 보유한 틱톡커 '릴리언니'가 지난달 말 서울 성북구 고려대 화정체육관에서 한경닷컴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박수빈 기자

팔로워 266만1000명을 보유한 틱톡커 '릴리언니'가 지난달 말 서울 성북구 고려대 화정체육관에서 한경닷컴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박수빈 기자

#kdrma 1240만건 생성될 정도로 '각광'

왼쪽부터 BTS의 군복무를 설명하는 콘텐츠가 조회수 459만6000회를 찍었다. 오른쪽은 오징어게임 소개 콘텐츠로 조회수 1180만1000회를 기록했다. 사진=릴리언니 틱톡 계정 갈무리

왼쪽부터 BTS의 군복무를 설명하는 콘텐츠가 조회수 459만6000회를 찍었다. 오른쪽은 오징어게임 소개 콘텐츠로 조회수 1180만1000회를 기록했다. 사진=릴리언니 틱톡 계정 갈무리

실제로 틱톡에서 한국 콘텐츠는 단순 시청에 그치지 않고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에 의해 끊임없이 재창조돼 자생적으로 트렌드를 만들어가는 흐름이 포착되고 있다. 틱톡에서 '#kdrama' 해시태그는 현재 1240만건 이상의 영상으로 생성돼 글로벌 '#drama '해시태그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을 정도다.

K푸드로 주목받은 김밥 또한 틱톡에서 화제를 모아 미국 대형 식료품점에서 품절 사태를 빚었다. 틱톡 기반의 국내 콘텐츠가 경쟁력을 갖추면서 K 푸드 수요를 글로벌로 확장한 것이다.

릴리언니의 콘텐츠는 한류 영향력을 쉽게 알기 어려운 남미권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스페인어로 '오징어게임'을 소개한 콘텐츠는 1180만회가량 조회수를 찍었다. 이외에도 '한국 엄마와 라틴 엄마의 차이', '한국과 아르헨티나의 연애 문화 비교' 등 양국의 문화적 차이를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로 한국 문화의 '글로벌 복도' 역할을 하고 있다.

틱톡 기반 국내 콘텐츠가 제3국인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릴리언니는 "스페인어권 국가에 한류 영향력이 커졌다"며 "멕시코 등에서 열리는 5만석 규모의 K팝 콘서트도 다 매진되고, 박보검 등 배우 팬미팅도 자주 열린다"고 말했다.

릴리언니가 스페인어권 국가에서 특히 사랑받는 이유는 K콘텐츠 팬들의 '효자손'을 자처해서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에 나온 제주도 전통가옥의 대문인 정주석과 나무 막대인 정낭에 대해 설명하는 식이다. 릴리언니는 "제가 해외에 살다 왔으니까 (외국인들이) 뭐가 신기하고 이해가 어려운지 파악을 잘 할 수 있다. 거기에 따라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며 "그런 설명을 해줄 수 있는 '언니'가 있어서 외국 틱톡 이용자들이 좋아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틱톡, 멕시코서 22억6000만 가치 창출 성공

지난 10월 2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열린 '틱톡 어워즈 2025'에서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상을 수상한 릴리언니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틱톡

지난 10월 25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에서 열린 '틱톡 어워즈 2025'에서 엔터테인먼트 크리에이터 상을 수상한 릴리언니가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틱톡

회사 측에 따르면 틱톡에 기반한 글로벌 K컬처 팬층은 2012년 이후 24배 성장했다. 현재는 전 세계 2억2500만 명을 기록할 정도다. 특히 틱톡에서는 사용자가 다른 플랫폼보다 K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1.8배 더 적극 참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브랜드가 별도의 현지화 전략을 펼치지 않아도 틱톡을 통해 글로벌 팬덤을 구축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대목이다.

릴리언니 또한 코어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릴리언니는 "댓글을 보면 '이 언니한테 들어야 한다', '릴리언니가 얘기해 주길 바랐다'는 반응이 꽤 있다"며 "이미 아는 내용이더라도 제가 얘기해달라고 하는 반응이 있더라"라고 말했다. 릴리언니는 "스페인어권 국가라 하더라도 사용하는 언어가 미세하게 다르다. 예를 들어 아르헨티나에서만 쓰는 단어가 있는데 다른 국가에서는 사투리처럼 들릴 수 있다"면서 "최대한 통용되는 단어를 써 K콘텐츠를 설명한다"고 말했다.

릴리언니는 수많은 플랫폼 중 틱톡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릴리언니는 "2021년에 틱톡을 시작했다. 원래 롱폼도 제작해봤지만 해외에서는 틱톡이 1위"라며 "안 하면 뒤처지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틱톡은 멕시코에서 지난해 총 22억6000만 달러의 가치를 기여하고 5만8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미국에서는 2023년 미국 GDP에 242억 달러를 기여했을 정도다.

릴리언니는 국내 틱톡에서 더 다양한 콘텐츠가 나올 것이라 전망했다. 릴리언니는 "해외에는 모든 정보가 다 틱톡에 있다. 해외여행을 가는 경우 틱톡으로 검색할 정도"라면서 "앞으로 (틱톡) 생태계가 다양해질 것 같다. 3년 전만 해도 챌린지 위주였지만 지금 다양한 콘텐츠가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릴리언니는 "저만 해도 더 깊은 콘텐츠를 위해 아예 한국에 정착했을 정도다"라며 "숏폼의 장점은 누구나 쉽게 제작하고 시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저 또한 이렇게 각광받을 줄 몰랐는데, 크리에이터로서 숏폼 생태계가 아직 더 성장할 부분이 많이 보인다"고 내다봤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