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공공 1등급 핵심 시스템에 실시간(액티브-액티브) 재해복구(DR·백업) 체계를 도입한다.
장애 발생 시 무중단 서비스 제공이 목표로, 대국민 서비스 안정성을 제고하고 디지털 정부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1등급 시스템으로 꼽히는 '차세대 지방세·재정 시스템' 관련 백업 센터를 구축하면서 실시간(액티브-액티브) 백업 방식을 적용한다. 최근 이를 위한 사전규격을 공지했다.
실시간 백업은 클러스터링 등 첨단 기술을 활용, 장애 발생 시 바로 백업 센터로 서비스를 전환하기 때문에 끊김 없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 발생 후 백업센터를 가동시켜 복구를 시작하는 일반적(액티브-스탠바이) 방식과 달리 평상시에도 백업센터를 가동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은 물론 고난도 기술이 필요하다.
글로벌에선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가 멀티 리전(복수 데이터센터)을 통한 실시간 백업 체계를 구축했고, 국내에선 대형 은행과 플랫폼 사업자 등 몇 개 기업에 불과할 정도로 사례가 드물다.
행안부는 2023년 말 '행정망 전산마비 사태' 이후 지난해 초 대책을 발표하며 주요 시스템(1등급)에 대해 실시간 백업 시스템 도입을 발표한 바 있다.
차세대 지방세·재정 시스템(통합지방재정 시스템) 실시간 백업 체계 구축이 그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이 사업은 조만간 사업자 선정에 돌입한다. 사업 규모는 250억원 가량으로 대기업 참여제한 사업이라 중견 정보기술(IT) 서비스 기업 참여가 예상된다.
행안부는 또 다른 1등급 시스템인 세입정보시스템에 대해서도 실시간 백업 체계를 적용한다. 사업 규모는 350억원으로 오는 11월께 발주가 예상된다.
두 사업 모두 올해 사업자 선정 후 개발에 착수, 이르면 2027년부터 실시간 백업 체계가 가동될 전망이다. 백업 센터 위치는 실시간 네트워크 연결 등을 감안해 상암동 본 센터와 50킬로미터 이내 거리에 있는 인천이 유력하다.
이번 사업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공공은 물론 민간까지 국내 실시간 백업 기술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시스템으로 적용을 확산하며 새로운 정보통신기술(ICT) 시장 성장도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실시간 백업은 일반적 DR보다 고차원 기술력을 요해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기술 검증과 구현 방식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며 “사업이 성공한다면 안정적 대국민 서비스 제공은 물론, 이를 발판으로 공공뿐 아니라 기업 시장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두 사업 외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일부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시간 백업체계 검증도 추진한다. 시범사업을 통해 맞춤형 백업 체계 구현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을 연말까지 마련해 배포할 계획이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