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복수의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드론 공방전 시나리오 사업 참여 공고를 내는 이유는 드론이 한반도 안보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드론의 중요성을 일깨웠다면, 북·러 간 군사 협력은 드론 전쟁의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우크라이나가 지난 6월 러시아 내륙 전략폭격기 기지를 초토화한 ‘스파이더웹 작전’이 대표적이다. 117대의 1인칭 시점(FPV) 드론이 4개 러시아 공군 기지를 동시에 타격해 약 40대의 군용기를 파괴했다. 300~500달러에 불과한 드론이 70억달러 규모의 전략 자산에 치명적 피해를 준 사례다.
북한도 이런 흐름을 놓치지 않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무인항공기 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를 시찰하며 자폭형 드론의 대량생산을 지시했다. 3월에는 위성항법장치(GPS)에 의존하지 않고 목표를 타격하는 인공지능(AI) 유도 자폭형 드론이 포착됐다.
한국은 소형 군집 드론 개발과 유무인 드론 통합 체계라는 두 방향으로 대응에 나섰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KF-21 조종사가 무인 편대를 통제하는 유·무인 협업 차세대 공중전투체계(NACS)를 개발 중이다. 김규홍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드론 유무인 통합체계는 극초음속 무기와 함께 미래 전장의 양대 게임 체인저”라며 “이 분야에서 우리는 미국, 중국에 이어 일정 수준의 우위를 확보한 국가”라고 말했다.
최영총 기자 youngchoi@hankyung.com

2 days ago
3

![[우리가 AX 주역]〈71〉클라이온, 공공 AX 혁신의 실전형 파트너로 우뚝](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bc59d8e9fa774241ace14e3ba38752cd_P1.pn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