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김진수 교수, 식량문제.유전질환 연구에 34억 기부했다

1 month ago 15

입력2025.09.16 14:58 수정2025.09.16 14:58

KAIST 김진수 교수, 식량문제.유전질환 연구에 34억 기부했다

김진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공학생물대학원 교수가 농업·생명과학 연구를 위해 약 34억원어치의 주식을 기부했다. KAIST는 김 교수가 유전자가위 기업 툴젠의 주식 8만5000주(약 34억원)를 기부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기부금은 KAIST가 올해 하반기 설립 예정인 ‘식물기반 탄소포집연구센터’에 사용된다. 연구센터는 식물과 미세조류의 광합성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최종 연구목표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식량 생산도 늘리는 것이다.

핵심 기술은 김 교수의 ‘세포 속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 DNA 직접 교정’ 기술이다. 기존 유전자 가위로는 교정이 어려웠던 세포 속 DNA까지 바꿀 수 있다. 향후 난치성 유전질환 연구와 치료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비유전자변형생물체(Non-GMO)로 인정받아 규제가 적고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KAIST는 이 기술을 활용해 탄소를 많이 흡수하는 작물을 만들고, 이를 친환경 항공 연료(SAF) 원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김 교수는 “기후 변화와 식량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이번 기부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