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AI 활용 확대에 1조6000억원 투입…미·중 기술 의존 탈피 나선다

1 month ago 7
EU, AI 활용 확대에 1조6000억원 투입…미·중 기술 의존 탈피 나선다

유럽연합(EU)이 역내 산업의 저조한 인공지능(AI) 활용을 늘리고 미국과 중국의 AI 기술에 대한 의존을 줄이기 위해 10억유로(약 1조6580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EU 집행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로봇공학, 헬스케어, 제약, 에너지, 제조, 건설, 농식품, 자동차, 방위, 통신, 창작 등 11개 산업 부문에서 AI 활용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고 로이터 통신과 폴리티코 유럽판이 보도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성명에서 “AI의 미래가 유럽에서 만들어지기를 바란다”며 “모든 핵심 부문에서 우선 사고방식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기업활동에 AI를 활용한 유럽 기업은 14%도 채 되지 않았다. 대기업의 활용도는 텍스트나 이미지 생성 등을 포함해 약 40%였지만,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10%로 낮았다.

미국상공회의소가 AI를 사용하는 미국 중소기업이 60%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컨설팅사 매켄지의 조사에서 글로벌 활용도가 78%로 나타났던 것과 비교하면 유럽 기업의 활용도는 크게 뒤처진다.

EU는 이런 추세가 이미 AI 영역을 압도적으로 선점한 미국에 맞서고, 둔화한 경제 성장률을 촉진하는 데 악재가 될 것으로 우려한다. EU 집행위 AI실을 이끄는 루칠라 시올리 실장은 “만족스럽지 않은 수치”라고 말했다.

집행위는 유럽이 AI 하드웨어를 두고 다른 지역에 의존하는 것은 무기화 가능성과 심각한 공급망 리스크를 제기한다고 지적했다.

헬스케어 부문에서 AI 기반 첨단 스크리닝 네트워크 구성, 제조와 제약, 기후 산업에서 AI 에이전트 개발 방안이 포함됐다.

자율주행 모델이나 신약 개발을 위한 AI 지원, 농민이 AI 기반 앱을 탐색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농업 중심 앱스토어 지원 등 방안도 제시됐다. 창작 부문에서도 AI 강화 제작이나 AI 번역 활용 플랫폼 개발 등이 지원될 예정이다.

시올리 실장은 “우리가 보고 싶은 건 기업이 생산에서부터 AI를 사용하도록 제조 공정을 재설계하는 등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며 “사무실 책상에 챗GPT를 올려두고 'AI 사용했음' 항목에 체크하라는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집행위는 10억 유로 예산은 EU 연구개발 프로젝트에서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