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및 챗GPT 로고(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챗GPT가 인기를 끌면서 최근 1년 새 하루 메시지 생성량이 6배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AI 연구팀은 하버드대 등 연구팀과 함께 이용자들이 챗GPT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지난 15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들 연구팀은 2024년 5월∼2025년 6월 약 150만건의 익명화된 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챗GPT 출시 3년 이후 소비자의 AI 사용 행태를 추적했다.
오픈AI는 “챗GPT가 주간 7억명이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지금까지 발표된 실제 소비자 AI 사용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연구”라고 밝혔다.
지난 1년간 챗GPT가 하루에 생성하는 메시지는 크게 늘었다. 지난해 6월 챗GPT가 요청받은 하루 평균 메시지는 4억5100만건이었는데, 올해 6월에는 26억2700만건으로 6배로 늘어났다.
이 기간 업무 목적으로 챗GPT를 사용한 비율은 47%에서 27%로 떨어졌으나, 업무 이외 목적으로 사용한 비율은 53%에서 73%로 올라갔다.
오픈AI는 “두 영역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고 있다”며 “이는 챗GPT가 생산성 도구이자 일상생활에서 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임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용자의 챗GPT 사용은 주로 일상적인 업무 해결에 관한 것으로, 대화의 4분의 3은 실용적 지침, 정보 탐색, 글쓰기였다. 코딩 등 활동은 비중이 적었다.
메시지의 49%는 질문이었고, 텍스트 초안 작성 등 특정 작업을 요구하는 메시지는 40%를 차지했다. AI에 자신의 상태나 정보를 표현하는 경우는 11%를 차지했다.
사용자 집단별 격차도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용자들이 적은 이름을 토대로 성비를 분류한 결과 2022년 말에는 남성 사용자 비율이 80%에 달했으나, 최근에는 여성이 52%로 더 많아졌다.
또 2024년 5월~2025년 5월 국내총생산(GDP) 1인당 1만~4만 달러 구간(중소득 국가)에서 사용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용자 수와 보급률은 고소득 국가에서 여전히 높지만, 최저소득 국가의 사용량 증가율은 최고소득 국가보다 4배 높게 나타났다.
나이별로는 18~25세가 전체 메시지의 약 46%를 차지했고, 업무 관련 사용 비율은 30~60대에서 높아졌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1 month ago
16







![[우리가 AX 주역]〈71〉클라이온, 공공 AX 혁신의 실전형 파트너로 우뚝](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bc59d8e9fa774241ace14e3ba38752cd_P1.pn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