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개념을 바꾼 제임스웹우주망원경, 우주 배송 시대를 연 시그너스 XL, 2조달러 규모 골든돔 프로젝트….
최근 미국이 수행한 초대형 우주 프로젝트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노스롭그루먼이 개발과 제작에 참여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워싱턴DC의 관문인 덜레스공항 인근 노스롭그루먼 스페이스 캠퍼스는 우주사(史)를 바꿔놓은 현장으로 평가받는다. 이곳의 핵심 연구개발(R&D) 거점인 ‘빌딩 2’를 이달 초 방문했다. 출입이 철저히 통제된 공간에 방진복으로 무장한 채 에어샤워 도포를 하고 입장하자 집채만 한 정지궤도 위성 1기가 거대한 성조기를 배경으로 웅장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이름과 임무, 스펙이 모두 비밀인 신형 위성의 본체와 패널, 복잡한 배선들 사이로 엔지니어들이 숨 가쁘게 오가며 궤도를 계산하고 있었다.
트로이 브래시어 노스롭그루먼 스페이스부문 부사장은 모든 우주 활동의 기본은 ‘우주 영역 인식’(SDA)에서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SDA는 우주 공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뜻한다”며 “우주에서 상업적, 연구적, 군사적 활동을 하려면 우주 공간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SDA는 국가 안보, 위성 운용, 우주교통관리 모두에서 핵심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위협 요인을 식별하고 아군 자산과의 상호 위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주 공간을 이해하려는 노스롭그루먼의 열정은 허블망원경의 후계자인 제임스웹 탄생으로 이어졌다. 이 회사가 만든 제임스웹은 미국과 유럽, 캐나다가 25년간 13조원을 들여 개발한 사상 최대 우주망원경이다. 제임스웹은 지구 535㎞ 상공을 도는 허블과 달리 지구에서 150만㎞ 떨어진 라그랑주 L2 지점에서 우주를 관측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웹의 주경(빛을 모으는 거울) 지름은 6.5m로 허블 2.4m의 2.7배”라며 “허블보다 100배 더 희미한 물체를 구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골든돔 프로젝트에서도 노스롭그루먼은 핵심 역할을 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브래시어 부사장은 “미사일 경보와 추적 분야의 대부분은 우주에서 수행된다”며 “적 미사일 발사 원점을 탐지하고 비행 단계별 궤적을 추적하는 적외선 센서에 우주 기술이 필수로 쓰인다”고 말했다. 이어 “우주 방어 개념에서 우주 반도체가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우주 반도체의 설계부터 파운드리까지 모든 공정을 자체적으로 가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스털링=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5 hours ago
1







![[우리가 AX 주역]〈71〉클라이온, 공공 AX 혁신의 실전형 파트너로 우뚝](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bc59d8e9fa774241ace14e3ba38752cd_P1.pn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