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결승전서 kt 상대로 3대2 승리…‘페이커’ 이상혁, 우승 횟수 6회로 늘려
T1이 ‘리그오브레전드(LoL)’의 세계 대회인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상대 kt 롤스터를 세트스코어 3대2로 물리치고 사상 첫 ‘쓰리핏(3회 연속 우승)’ 달성에 성공했다. 이날 ‘페이커’ 이상혁은 월드 챔피언십 우승 횟수를 6회로 늘리며 역사상 최고의 선수라는 것을 재입증했다. 팀 동료인 ‘오너’ 문현준, ‘구마유시’ 이민형, ‘케리아’ 류민석은 이상혁과 함께 ‘쓰리핏’의 주인공이 됐고 ‘도란’ 최현준도 자신의 경력에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추가하게 됐다.
9일 중국 청두 동안호 스포츠파크 다목적체육관에서 열린 ‘2025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 T1은 상대 kt 롤스터를 승패패승승으로 이어지는 대접전 끝에 물리쳤다. kt 롤스터는 창단 첫 결승 진출에서 우승까지 차지할 수 있는 기회를 문턱에서 놓쳤다.
이날 T1은 ‘도란’ 최현준, ‘오너’ 문현준, ‘페이커’ 이상혁, ‘구마유시’ 이민형, ‘케리아’ 류민석, kt 롤스터는 ‘퍼펙트’ 이승민, ‘커즈’ 문우찬, ‘비디디’ 곽보성, ‘덕담’ 서대길, ‘피터’ 정윤수가 나섰다.
1세트는 T1이 승리했다. kt는 초반 주도권을 이어가지 못하고 중후반 교전을 모두 패하며 승리를 내줬다.
kt는 럼블, 오공, 라이즈, 애쉬, 브라움을, T1은 암베사, 신 짜오, 탈리야, 바루스 뽀삐를 택했다.
초중반까지는 kt가 주도했다. kt는 하단 길목과 상단 길목에서 이득을 챙겼고 공허 유충과 두 번째 드래곤, 협곡의 전령까지 주요 오브젝트도 모두 가져가며 기세를 올렸다. 16분경 킬데스 스코어는 6대1로 벌어졌고 골드도 격차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T1의 반격이 시작됐다. 전령을 무의미하게 소모한 kt는 직후 펼쳐진 드래곤 교전에서 대패하며 T1에게 밀리기 시작했다. kt의 문우찬 선수가 교전을 열었으나 류민석의 챔피언이 버텨내며 오히려 역습을 허용했다.
이후 이어진 아타칸 공반전에서도 패배한 kt는 결국 기세를 내주고 말았다. 아타칸을 차지한 T1은 킬데스 스코어를 11대8로 역전시켰고 이후 이어진 드래곤 교전에서도 승리하며 상대를 몰아붙였다. T1은 ‘도란’과 ‘오너’를 앞세워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었고 ‘케리아’의 센스 있는 플레이로 경기 종반 내셔 남작 공략에 성공한 이후 바로 상대 본진까지 진입하며 36분경 킬스코어 25대11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2세트는 kt가 승리했다. 1세트와 달리 초반 주도권을 끝까지 유지하며 상대의 반격을 봉쇄했다.
kt는 렉사이, 바이, 멜, 이즈리얼, 니코, T1은 사이온, 자르반 4세, 사일러스, 시비르, 룰루를 택했다.
초반부터 kt는 격차를 벌렸다. 퍼스트 킬에 이어 중단 교전에서도 ‘비디디’가 상대를 유인해 킬 교환에서 이득을 봤다. 15분경 T1의 상단 길목 급습에서도 마찬가지였다. T1은 연달아 드래곤을 가져가고 경기 중반 교전에서 펼친 난타전에서 ‘구마유시’와 ‘케리아’의 활약으로 킬스코어를 8대7까지 좁히기도 했으나 이어진 후속 교전에서 결국 패배하며 킬스코어는 13대9까지 다시 벌어졌다.
이후 kt는 첫 번째 드래곤과 아타칸을 가져가며 기세를 올렸고 상대의 오브젝트 공략을 성공적으로 방해하고 교전에서도 지속 승리하며 이득을 챙겼다. 특히 33분경 kt는 내셔 남작 주변에서 펼친 교전에서 또 크게 승리하며 승기를 완전히 가져오기 시작했다. ‘페이커’의 사일러스를 먼저 공략하는 사이 상대의 집중 공력을 ‘퍼펙트’가 버텨낸 것이 승부를 가른 모습이었다.
T1은 이어진 드래곤 교전에서 위협적인 ‘비디디’의 멜을 쓰러뜨리는 데 성공했지만 교전에서는 패했고 상대의 본진 공략도 가까스로 막아냈다. 재차 내셔 남작 앞에서 펼친 교전에서 ‘도란’의 챔피언을 먼저 쓰러뜨린 kt는 그대로 상대 본진으로 향했고 T1의 거센 저항을 물리치며 42분경 24대15로 세트를 마무리하고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3세트도 kt가 승리했다. 강력한 앞 라인을 앞세운 kt를 T1은 뚫어내지 못했다.
처음 블루 진영으로 나선 T1은 레넥톤, 비에고, 빅토르, 유나라, 라칸를 택했고 kt는 크산테, 문도, 신드라, 코르키, 알리스타로 맞섰다.
지난 세트부터 초반부터 kt가 우세를 점했다. kt는 첫 번째 드래곤을 잡은 T1을 쫓아가 ‘페이커’의 빅토르를 쓰러뜨렸고 이후 본진 근처까지 올라온 ‘도란’의 레넥톤도 쓰러뜨렸다. 이후 11분경 드래곤 교전에서 상대에게 밀리는 것처럼 보였으나 전투를 길게 이어간 끝에 상대를 몰아내고 킬스코어를 6대3으로 벌렸다.
T1도 반격에 나서 ‘커즈’의 문도가 중단 길목으로 지원을 간 사이 ‘비디디’를 잡고 협곱의 전령을 두고 펼쳐진 교전에서도 후방에서 돌아서 들어온 ‘도란’의 활약으로 상대 바텀 라인을 제압하기도 했다.
하지만 kt는 두 번째 드래곤을 차지하며 추가 킬을 올리고 하단 길목에 있던 ‘도란’을 포위해 잡아내며 이득을 봤고 특히 22분경 드래곤 교전에서 크산테와 문도를 앞세워 대승을 거두고 아타칸까지 차지하며 승기를 잡았다.
이후 kt는 T1의 노림수를 방해하며 킬수를 지속 추가했다. 특히 경기 후반 T1이 강력한 상대 탱커 라인을 봉쇄하기 위해 하단 길목에서 크산테를 노리고 승부수를 걸었으나 결국 크산테와 문도의 강력함만을 확인했다. 내셔 남작 교전까지 승리한 kt는 36분경 킬스코어 23대9로 마무리했다.
4세트는 다시 T1이 승리했다. 초반 구도는 다소 불리하게 느껴졌으나 착실하게 드래곤을 챙겼고 상대의 허점을 노린 플레이로 역전에 성공했다.
다시 블루 진영으로 나선 T1은 그라가스, 녹턴, 애니비아, 칼리스타, 레나타 글라스크로 조합을 짲고 kt는 모데카이저, 트런들, 카시오페아, 케이틀린, 탐 켄치를 택했다.
초반 분위기는 kt였다, 첫킬을 올린 kt는 이후 두 번째 드래곤 교전에서도 승리를 거두며 킬스코어를 3대1로 벌렸다.
대신 T1은 연속으로 드래곤을 차지하며 오브젝트 확보에 집중했다. T1은 kt의 드래곤 공략 시도를 방해하며 추가킬을 내줬으나 세 번째 드래곤을 차지했고 아타칸도 가져왔다. 반면 kt는 킬스코어에서 앞섰지만 대부분의 오브젝트를 빼앗기며 기세를 잃기 시작했다.
특히 아타칸 직후 펼쳐진 교전에서 T1이 네 번째 드래곤을 가져오고 난타전 끝에 킬스코어를 8대8로 맞추며 승부의 추가 급격하게 기울었다. ‘페이커’의 애니비아 본격적으로 힘을 발휘하며 상대의 움직임을 방해했고 ‘구마유시’의 칼리스타는 상대의 챔피언을 마무리했다.
T1은 내셔 남작 교전에서도 대승을 거두며 상대를 무력화시켰고 본진까지 흔들었다. 이후 중단 골목에서 상대 급습에 성공하며 승부를 5세트로 이어갔다.
대망의 5세트. kt는 요릭, 세주아니, 스몰더, 직스, 노틸러스로 나섰고 T1은 카밀, 판테온, 갈리오, 미스 포츈, 레오나를 택했다. 초반부터 T1은 상대를 몰아붙였다. ‘퍼펙트’의 요릭을 집중 공략하며 성장을 방해했다. kt도 ‘비디디’가 ‘페이커’와 킬을 교환하고 첫 드래곤을 가져가며 분전했으나 킬스코어 격차가 점차 벌어졌다.
kt는 최대한 ‘비디디’의 챔피언 스몰더의 성장을 기대하며 숨죽이는 플레이로 후반을 노렸으나 한 번의 패배에 무너졌다. 연달아 ‘도란’의 카밀을 잡아낸 kt는 아타칸 공략에 성공한 T1에게 교전을 시도했으나 대패하며 킬스코어가 13대6으로 벌어졌다. 이후 kt는 승부를 뒤집지 못했다. T1은 이어진 교전에서 ‘구마유시’의 미스포츈 등이 활약하며 kt의 챔피언을 정리했고 내셔 남작도 차지하며 기세를 올렸다. 마지막 교전에서도 T1은 상대의 모든 챔피언을 제압하고 승부를 마무리했다.
한편 이날 결승전 MVP에 선정된 ‘구마유시’ 이민형 선수는 소감에서 “그동안 증명의 아이콘으로 매번 증명을 해왔는데 이번 증명이 다른 점은 저 자신에게 증명한 한해였다는 것”이라며 “저에게 증명했고 이제 제가 세계 최고의 원딜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우리가 AX 주역]〈71〉클라이온, 공공 AX 혁신의 실전형 파트너로 우뚝](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7/news-p.v1.20251107.bc59d8e9fa774241ace14e3ba38752cd_P1.pn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