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일화가 이뤄진다면… /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 무기 운용은 조종사들에 의해 원격으로 이뤄진다.
- 피해자의 법정 진술은 다음 기일에 이뤄진다.
- 5개 주제의 전시가 이뤄진다.
- 그 단체에서 현안 논의가 이뤄진다.
[이루어지다]는 이루다의 피동형입니다. 줄여서 '이뤄지다' 합니다. 이 단어를 쏙 넣으면 문장이 툭 하고 튀어나옵니다. 참 편합니다. 자판기가 따로 없습니다. 뜻도 통하고 문장도 성립하지만 아쉬움이 있습니다. 우리말답지 않고 단조롭기 때문입니다.
- 단일화된다면, 단일화가 된다면, 단일화한다면, 단일화를 한다면 / 단일화가 안 될 경우.
- 무기는 조종사들이 원격으로 운용한다 / 무기 운용은 조종사들이 원격으로 한다.
- 피해자 법정 진술은 다음 기일에 있다 / 피해자는 다음 기일에 법정 진술을 한다.
- 5개 주제로 전시한다 / 5개 주제로 전시된다.
- 그 단체에서 현안을 논의한다 / 그 단체가 현안을 논의한다.
이미지 확대
사전들
많은 경우 이처럼 다른 말을 쓰는 게 낫습니다. '이뤄지다'가 남용되어서입니다. 특정 명사를 주어나 주제어로 앞세워 문장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 탓도 큽니다. 그럴 필요가 없을 때조차 말입니다.
책 『이수열 선생님의 우리말 바로 쓰기』가 고쳐서 쓴 사례를 추가로 소개합니다. 함께 읽으며 생각해보기 위해서입니다.
성공이 이루어졌다 → 성공했다 / 책임 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 책임을 다해야 한다 / 약속 이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 약속을 지켜야 한다 / 공정한 법 집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 법을 공정하게 집행해야 한다 / 공정한 심판이 이루어져야 한다 → 심판을 공정하게 해야 한다.
부패 척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 부패를 척결해야 한다 / 소원 성취가 이루어졌다 → 소원을 성취했다 / 경기 회복이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 경기를 빨리 회복해야 한다 / 과감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 과감하게 개혁해야 한다 /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정밀하게 조사해야 한다 / 성역 없는 수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성역 없이 수사해야 한다.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이수열, 『이수열 선생님의 우리말 바로 쓰기』, ㈜현암사, 2014, p.60. '이루어지다' 문장 바꾸어 쓴 사례 인용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3.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년05월28일 05시55분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