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확산이 전 세계 노동시장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근로자들은 점점 더 다양한 형태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프샤크는 최근 AI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최신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9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3200건이 넘는 AI 관련 사건이 공개적으로 보고됐고, 이 중 근로자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례는 700건 이상이었다. 이 가운데 72%는 근로자에게 경제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초래한 것으로 분류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전체 사건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225건을 차지했으며, 중국이 49건, 한국이 22건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미국은 노동권 지수(Labour Rights Index)가 낮아 근로자들이 AI로 인한 변화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프샤크는 이 같은 변화가 단순히 산업 구조 재편에 그치지 않고 실제 고용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2025년 1~3분기 동안 AI 도입으로 인해 최소 20만개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영향은 고객 서비스, 영업 관리, IT, 디자인, UX, 카피라이팅 등 다양한 직군에 걸쳐 나타났다. 다만 이 수치는 신규 채용이 중단된 일자리까지는 포함하지 않아, 실제 피해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클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토마스 스타물리스(Tomas Stamulis) 서프샤크 최고 보안 책임자(CSO)는 “머신러닝 기술이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급속한 AI 도입은 보안, 프라이버시, 고용 측면에서 새로운 위험을 초래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AI 붐은 이제 막 정점에 이르고 있다”며 “AI 도구는 기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폭넓게 통합되고 있지만, 견고한 절차 없이 이를 도입한다면 기업은 기밀 유출, 지식재산권 침해, 법적 및 윤리적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타물리스는 또한 AI의 책임 있는 사용을 위해 위협을 조기에 식별하고 명확한 책임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AI의 대규모 데이터 처리 능력은 가장 큰 강점이지만, 제대로 통제되지 않으면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위협할 수 있는 가장 큰 위험 요인이 된다”며 “기업은 투명성, 보호 조치, 체계적인 위험 관리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분석은 AI의 경제적·윤리적 영향이 실제 사건을 통해 빠르게 드러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불법 복제 서적을 AI 학습에 사용한 혐의로 제기된 소송은 471건 보도로 이어졌으며, 영국에서는 1000명 이상 음악가가 저작권법 개정안에 반대하며 침묵 시위를 벌였다. 해당 개정안은 AI가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학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논란이 컸다. 또한 아마존이 생성형 AI와 자동화를 이유로 사무직 감축 계획을 발표하면서 관련 보도가 343건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보고서가 AI가 단순히 인간의 업무를 대체하는 수준을 넘어, 노동 환경과 데이터 보안 체계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평가한다. AI 도입은 기업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근로자 보호 정책과 데이터 관리 체계의 재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AI 발전이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술 효율성뿐만 아니라 윤리적 통제와 사회적 책임이 함께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

2 hours ago
1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