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인구주택총조사 실시…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

3 weeks ago 7
포스터포스터

서울시가 오는 10월 22일부터 11월 18일까지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2025 인구주택총조사'에 시민들의 적극 참여를 당부했다.

올해 인구주택총조사는 1925년 첫 조사 이후 100년째를 맞았다. 5년마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국가 최대 규모의 통계조사다. 국가데이터처가 주관하고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수행하며 올해 서울 지역 조사 대상은 전체 가구의 20%에 해당하는 총 87만3727가구에 달한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인구·가구·주택 구조를 종합적으로 진단해, 향후 복지·돌봄·주거·외국인 지원 등 시민생활 전반의 정책 설계 근거로 활용할 예정이다.

2025년 인구주택총조사는 총 55개 문항으로 구성된다. 이 중 13개 문항은 행정자료로 자동 대체돼 응답자의 부담을 줄였으며, '비혼동거', '결혼 의향', '가족돌봄시간', '가구 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임대주체', '자전거 보유' 등 7개 신규 항목이 새롭게 도입됐다.

예를 들어, 1인 가구와 결혼 의향 문항은 '혼자 사는 삶'을 지원하기 위한 고립·외로움 해소 및 청년 삶의 질 향상 정책의 기초자료가 된다. 또 한국어 실력과 가구 내 사용 언어 조사는 다문화·외국인 포용정책 강화 등의 기반이 된다.

서울시는 인터넷·전화조사와 방문면접조사를 병행한다. 아울러 수집된 모든 자료는 암호화·검증 시스템으로 관리해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확보할 방침이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인구주택총조사는 서울의 오늘과 내일을 함께 기록하는 중요한 과정”이라며 “시민 한 분 한 분의 응답이 곧 서울의 정책이 된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