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대상 해킹 시도가 전년 대비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생성형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면서 조직 보안관리 체계를 강화해 선제적 예방·차단에 나섰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일평균 탐지·차단된 사이버공격은 약 3만1000건으로, 지난해 일평균 1만9000여건보다 1만2000건(63%) 늘었다.
사이버안전센터가 집계한 위험 탐지 건수도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803만321건으로 이미 전년 수준(683만2921건)을 넘어섰다.
시는 AI 기반 보안관제 시스템으로 대응 속도를 크게 높였다. 기존 평균 20분 걸리던 위협 분석·차단을 10초 이내로 자동 처리하도록 전환했다. 최근 5년간 피해 사고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서울시는 기술적 조치를 넘어 제도적 보안 체계도 전면 강화한다. 올해 제정된 '서울시 사이버보안에 관한 조례에' 따라 산하 각 기관은 사이버보안관리관 및 분임관리관·담당자를 지정해 역할을 명확히 하고, 5년 주기의 사이버보안 기본계획을 의무 수립해야 한다. 또 사이버보안 자문위원회를 설치해 정책 검토와 보안 점검 체계를 상시화할 계획이다.
시는 5일 산하기관 및 지자체 대상 설명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공유했다.
김완집 서울시 정보보안과장은 “해킹 시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공격 형태가 지능화되고 있다”며 “AI 자동 관제와 조직 단위 보안관리 체계를 결합해 시민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4 days ago
2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