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서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에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국회인터넷의사중계시스템 캡처국가 인공지능(AI) 핵심 인프라 거점으로 조성될 국가AI컴퓨팅센터 부지가 전남 해남이 유력한 것으로 재확인됐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서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여당 간사)의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관련 질의에 “AI 3대 강국 가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이 있다”며 “AI 컴퓨팅 인프라를 잘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데 공개 입찰한 AI 컴퓨팅 인프라(국가AI컴퓨팅센터)는 민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AI 컴퓨팅 구축 방식에 있어 정부가 밀어붙이는 부분이 있고 민간과 협력하는 부분이 있는데 민간과 협력은 민간 의견을 중요하게 받아들인 부분이 있다는 전제도 있었다.
앞서 두 차례 유찰로 사업이 지연된 상황을 고려, 기업 의견을 반영해 공모 요건을 마련했다는 의미와 삼성SDS 컨소시엄이 전남 해남 솔라시도를 낙점한 이상 정부 입장에서 강제로 변경할 수는 없다는 취지를 담은 발언으로 해석된다.
지난 21일 신청이 마감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프로젝트는 공고 세 번 만에 성립됐다. 앞서 두 차례 과도한 민간 부담을 이유로 기업들이 일제히 무응찰하며 유찰됐고, 이번에 삼성SDS 컨소시엄 단독 입찰로 사업 심사가 시작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과기정통부는 민간 의견을 지속 수렴했고 정부 지분율을 30% 미만으로 완화,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의무 비중 삭제, 정부 매수청구권 폐지 등 기업의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공모 요건을 완화했다.
삼성SDS는 네이버클라우드와 카카오, KT 주요 IT 대기업과 삼성전자·삼성물산 등 관계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복수 클라우드 기업(CSP) 참여 가산점은 물론, 선의의 경쟁을 펼칠 수 있는 기업을 대거 컨소시엄에 합류시키며 결국 단독 입찰 상황을 만들어냈다. 입지는 전남 해남 솔라시도로 선정했다.
입찰 직후 광주지역 정치인들과 국회 과방위 소속 여당 의원 차원 문제 제기가 이뤄졌다. 이재명 대통령 공약인 광주 AI컴퓨팅센터가 무산된 것에 대한 지적이었다. 또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결정을 따져묻겠다며 삼성SDS 임원을 국감 종합감사 증인으로 신청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이 대통령은 “안타깝다”는 반응과 함께 “광주를 미래 산업도시로 조성할 수 있는 다른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사실상 센터 입지 변경이 어렵다는 방침을 시사한 것이다. 여기에 배 부총리 역시 민간 의견을 수용했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하며 변경 가능성을 낮췄다.
배 부총리는 광주의 다년간 AI 활성화 노력에 대한 입장을 묻는 김 의원 질의에 “AI 인프라뿐 아니라 지역 AX(AI 전환) 육성을 위한 여러 정책, 관련 연구소 설립 등 다양한 계획 수립하는 가운데 준비된 지역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진행하겠다”고 답했다.
유일한 변수는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적격성 심사와 한국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의 금융 심사에서 부적격 판단이 이뤄질 경우다.
한편 이날 국감 증인 신청이 이뤄진 삼성SDS 임원은 불출석 사유서를 내고 국감장에 참석하지 않았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1 week ago
11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