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13~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2회 초혁신 신기술 동맹(DETA) 서밋'에 참가해 기념 촬영했다.경기도는 13~16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제2회 초혁신 신기술 동맹(DETA) 서밋'에 참가해 지자체 최초 '소버린 AI' 플랫폼 구축·운영 사례를 국제사회에 공유했다고 16일 밝혔다.
경기도는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인공지능(AI) 주권 모델을 제시하고, 행정·복지·교통·환경 등 모든 분야에 적용한 정책·서비스를 소개했다.
DETA는 인공지능(AI)·사이버보안·양자기술 등 첨단 분야 협력을 목표로 전 세계 지방정부가 참여하는 국제 협의체다. 올해 서밋에는 플란더스 수상, 에밀리아로마냐 주지사 등 유럽 주요 11개 지방정부 대표와 글로벌 기술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경기도 대표단(단장 고영인 경제부지사)은 본회의에서 '소버린 AI,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AI 주권 모델'을 주제로 발표했다. 도는 도·시군·공공기관 AI 사업을 투명 공개하는 AI 등록제, AI 혁신클러스터, 맞춤형 복지 AI 서비스 등을 통해 민원 처리, 교통·환경 관리, 돌봄 등 행정 전반에 AI를 도입해 데이터 주권과 안전성을 강화한 사례를 공유했다. 경기도는 자체 데이터·인프라·인력을 기반으로 외부 플랫폼 의존을 줄인 '지자체형 소버린 AI 행정체계'를 구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단은 서밋 기간 유럽의회 산업·연구·에너지위원회(ITRE), 과학기술미래패널(STOA), EU 집행위원회 등 EU 주요 기관을 방문해 신기술 발전이 민주주의와 주권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의견을 교환했다. 또 프랑스 CEA-LIST(시스템·기술 통합 연구소), 벨기에 디지털 플란더스 AI 센터, IDLab(인터넷기술·데이터과학 연구소), imec(반도체·나노전자 연구기관) 등과 공동연구·기술교류·AI 인재양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도는 이번 서밋에서 2028년~2029년 '제3기 DETA 순환의장' 후보 참여를 공식 선언했다. 단순 참가를 넘어 의제 설정과 거버넌스 구축을 주도해 글로벌 AI 협력의 중심축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고영인 도 경제부지사는 “경기도는 지자체 최초로 독자적인 소버린 AI 플랫폼을 구축해 행정과 복지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며 “국제 협력을 강화해 경기도가 글로벌 소버린 AI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도민이 체감하는 AI 혁신 성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

3 weeks ago
9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