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처 아저씨가 내 사진을"…카톡 친구탭 '논란 속 반전' [종합]

2 days ago 2

카카오, 카톡 개편 논란에도
역대급 매출·영업이익 달성
카톡 친구탭, 체류시간 증가
앱 전체 체류시간도 2분 늘어
챗GPT 포 카카오, 200만 몰려
내년 실적 전망도 '청신호' 관측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 모습. 사진=임형택 한국경제신문 기자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 모습. 사진=임형택 한국경제신문 기자

카카오가 카카오톡 친구탭 개편으로 이용자들의 거센 역풍을 맞았지만 정작 실적은 역대급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분기 기준 최대치를 경신했다. 카카오톡 개편 이후 이용자 체류시간이 반등하는 성과도 확인됐다. 카카오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8조원대 연간 매출과 6000억~8000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카오는 7일 올 3분기 매출 2조86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59.4% 증가한 208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 2조208억원, 영업이익 1628억원의 컨센서스(전망치 평균)를 웃도는 수치다.

카카오는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던 직전 분기 매출을 뛰어넘었다. 영업이익도 분기 최초로 2000억원을 돌파했다.

플랫폼 부문에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늘어난 1조598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 가운데 톡비즈 매출은 7% 늘어난 5344억원을 기록했다. 톡비즈 광고 매출만 3254억원을 차지했는데 같은 기간 11% 늘어난 결과다. 비즈니스 메시지 매출이 1년 전보다 22% 증가해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다는 설명이다.

선물하기·톡딜 등 톡비즈 커머스 매출은 2087억원을 나타냈다. 선물하기 거래액은 1%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서비스 내 자기구매 거래액이 40% 늘었다. 커머스 통합 거래액은 4% 증가한 2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모빌리티·페이 등 플랫폼 기타 매출은 4527억원, 콘텐츠 부문은 매출 1조267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24%, 5%씩 증가했다.

카카오는 지난 9월 15년 만에 단행한 카카오톡 대규모 업데이트로 이용자들 반발을 샀지만 역대급 실적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앱) 체류시간을 늘리는 성과를 만들어냈다. 지난 9월 개편 이후 이용자 일평균 체류시간은 3분기 전체 평균보다 약 2분 늘어난 26분에 근접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톡 이용자 체류시간은 그간 하향 안정화된는 추세를 나타냈다. 체류시간은 카카오톡 사업의 핵심성과지표(KPI)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일평균 체류시간은 약 10초 증가하는 데 그쳤다. 메신저 플랫폼이 이용자 체류시간을 늘리는 일은 쉽지 않다는 것이 카카오 내부 판단이다.

카카오 판교 아지트 내부 모습. 사진=임형택 한국경제신문 기자

카카오 판교 아지트 내부 모습. 사진=임형택 한국경제신문 기자

채팅탭 이 외 영역으로 트래픽이 분산되고 있는 흐름도 긍정적이다. 특히 카카오톡 업데이트 당시 가장 거센 비판에 직면했던 친구탭 체류시간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는 친구탭을 인스타그램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피드 화면처럼 바꿔 '쉰스타(쉰내 나는 인스타그램)'란 평가를 받아야 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이날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채팅탭 트래픽이 견조한 가운데 콘텐츠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성격의 트래픽 대부분이 친구탭과 지금탭에서 개편 이후 체류시간이 3분기 평균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대화방 내 플랫폼 트래픽 구성이 채팅이 아닌 다른 탭으로 확장하면서 플랫폼 전반에서 트래픽의 질이 한층 더 향상된 점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친구탭은 이전과 같이 친구목록을 첫 화면에 볼 수 있는 방식을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올 4분기 중 개편할 계획이다.

'챗GPT 포 카카오'도 카카오톡 체류시간을 끌어올리는 발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 대표는 "출시 10일차인 어제(6일) 기준 이용약관에 동의하고 서비스 이용을 시작한 이용자가 200만명을 돌파했다"며 "발신 메시지 수와 체류 시간도 뚜렷한 상승 흐름을 보였다. 특히 일활성이용자 인당 평균 체류시간이 어제 기준 4분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카카오톡 전체 체류시간이 크게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출발점인 메신저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맞춤형 편의기능을 지원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인공지능(AI)과 대화만으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실행으로 옮기는 '에이전틱 AI' 생태계를 구현하겠다는 목표 아래 '카나나 인 카카오톡', '챗GPT 포 카카오'에 이어 AI 에이전트 '카카오 툴즈' 등을 연이어 선보였다.

또 수많은 대화방을 목적에 따라 폴더별로 분류해 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맞춤형 폴더 기능을 개선하고 안 읽은 폴더 대화방 내용을 알려주는 AI 요약 서비스를 이용자 반응을 본 뒤 확대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올해 연간 매출 8조원대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업이익도 6000억원대로 예상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이날 집계한 컨센서스를 보면 카카오의 올해 연간 매출은 8조42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연간 실적은 매출 8조8429억원, 영업이익 8147억원을 기록한다는 관측이다.

정 대표는 "이용자 목소리에 겸허히 귀를 기울이면서 수용도를 높이며 기존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플랫폼 혁신을 이어가는 균형점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