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주관한 'GES(게임·e스포츠 서울) 2025'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사진은 '서울 게임 공동관' 모습게임·e스포츠 등 기술과 콘텐츠가 만나 서울의 새로운 미래를 열었다.
서울시가 주최하고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주관한 'GES(게임·e스포츠 서울) 2025'가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창작자와 기업, 시민이 어우러져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로벌 축제의 장으로 꾸려졌다. 국내외 게임·e스포츠 기업 100여곳이 참여했으며, 3만여명에 달하는 관람객이 몰려 게이머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현장을 찾았다.
올해는 '엔터테크 서울 2025'와 '확장현실(XR) 페스티벌 서울 2025'를 통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했다. 특히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해 마련된 XR 체험 존에서는 가상현실(VR) 기기 활용 이벤트가 인기를 모았다.
첫날 개막식에서 김태균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전통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중심이 할리우드라면, 엔터테크의 미래는 서울”이라며 “매년 관광객 수백만 명이 게임·e스포츠와 XR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한국을 찾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족단위 관람객을 위해 마련된 확장현실(XR) 전시·체험존에서는 다양한 인터랙티브 기반 체험형 콘텐츠·기술 기업이 참여했다. 사진은 실시간 모션 캡쳐 소프트웨어 '모아(MoA)' 시연 모습.행사 첫날부터 아트홀에서는 다양한 게임 및 XR 체험 프로그램이 열렸다. 컨퍼런스홀에서는 포럼, 서울게임 공모전 본선 및 심사, 팬사인회, 뷰잉파티, 직무 세미나, 일자리 매칭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진행돼 현장의 열기를 더했다.
아트홀 1관에서는 중소게임사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서울 게임 공동관(SEOUL GAME ALLEY)'과 인디게임 대상 포커스그룹테스트(FGT)를 운영하는 '플레이 존(PLAY ZONE)'이 주목을 끌었다.
인디게임 테스트 플랫폼 '플리더스'를 운영하는 임찬영 대표는 “SBA와의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 인디게임의 버그 테스트와 해외 진출을 위한 로컬라이징을 지원하고 있다”며 “플레이 존에서는 사흘간 600여명의 VIP 테스터와 일반 시민들이 참여해 현장 테스트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서울' 브랜드와 대형 게임 지식재산(IP) 간 협업도 눈에 띄었다. CJ ENM의 모바일 게임 '무한의 계단' 10주년을 기념한 '서울 스토리맵'과 포토 부스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로 마련됐다. 넵튠 자회사 님블뉴런이 자체 개발·서비스하는 '이터널 리턴' e스포츠 경기와 이를 활용한 IP 전시·이벤트는 게이머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김현우 SBA 대표는 “GES는 아시아 최고 수준의 글로벌 플랫폼을 목표로, 게임·e스포츠 산업을 서울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마련됐다”며 “시민에게는 문화를 가까이서 경험할 기회를, 업계에는 서울의 역량을 확인할 비즈니스 장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1 month ago
9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