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알바·재택근무 가장…공격 방식 정교화
[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안랩은 올해 7~9월 발생한 다양한 피싱 문자를 분석한 결과를 담은 '2025년 3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를 5일 발표했다.
[사진=안랩]안랩이 자체 구축 인공지능(AI) 플랫폼으로 분석한 결과, 올 3분기 가장 많이 발생한 피싱 문자 유형은 '구인 사기(35.01%)'였다. 이어 정부·공공기관 사칭(23.77%), 텔레그램 사칭(20.07%), 금융기관 사칭(10.98%) 등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구인 사기 유형의 경우 단기 고수익 아르바이트나 재택근무 모집 등으로 가장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공격자는 문자 본문에 지원·상담용 페이지로 위장한 URL을 삽입하고 반응을 유도한다. '즉시 채용', '고액 수당' 등을 내세워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1:1 대화방에 초대해 금전을 갈취하는 사례가 꾸준히 확인된다.
정부·공공기관 사칭 피싱도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기타(58.35%)' 산업군 사칭도 절반 이상에 달해 피싱 문자 공격이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피싱 공격자들은 사회적 이슈나 개인 관심사를 교묘히 악용해 불특정 다수를 노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피싱 시도 방식은 'URL 삽입(96.6%)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모바일 메신저로 유인하는 방식은 3.40%에 그쳤다. 기술적 변화보다 기존 공격 방식을 정교화하면서 사용자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전략이 이어지고 있다.
피싱 문자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불분명한 송신자가 보낸 URL 클릭 금지 △의심스러운 전화번호의 평판 확인 △업무·일상에 불필요할 경우 국제 발신 문자 수신 차단 △스마트폰 보안 제품 설치 등 기본적인 보안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안랩 관계자는 "최근 피싱 문자 공격은 구직 등 개인의 일상과 심리를 노린 생활 밀착형 형태로 확산하고 있다"며 "취업·고수익·재택근무 등 쉽고 즉각적인 이익을 내세우는 메시지일수록 피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경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포토뉴스






![[이런말저런글] 난초 두 분에 생긴 "정말 지독한 집착"](https://img6.yna.co.kr/photo/cms/2019/02/28/75/PCM20190228000175005_P4.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