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 생명지킴이' 앱충남소방본부가 11일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 생존을 좌우하는 초기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 모바일 앱 서비스를 본격 시행한다.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는 심정지 신고 접수 시 환자와 가장 가까운 심폐소생술(CPR) 가능 자원봉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출동 알림을 전송한다. 119구급대 도착 전 '골든타임(최초 4분)'에 심폐소생술 실시·자동심장충격기 사용 등 응급처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생명 안전망이다.
심정지 신고가 접수되면 상황실에서 반경 300m 내 자원봉사 등록자에게 앱으로 상황을 송신하며, 자원봉사자는 요청에 대해 수락 또는 불가로 지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수락한 봉사자는 현장으로 이동해 구급대 도착 전까지 응급처치하는 방식이다.
모바일 앱 서비스는 도내 15개 시군 전역을 대상으로 운영한다. 현재 등록된 자원봉사자는 소방공무원·의용소방대원 등 3000여 명이다.
충남소방본부는 앞으로 의료종사자와 응급의료 관련 전공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수료자 등 일반 시민까지 자원봉사자로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성호선 충남소방본부장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처음 4분 내 응급조치가 이뤄지느냐에 달렸다”라며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가 지역사회 안에서 실질적인 안전망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민 대상 교육·홍보를 지속하고 참여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 상반기 급성심정지 조사 결과,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 생존율은 14.3%로 미시행(6.5%) 대비 2.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 뇌 기능 회복률 역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시 11.4%로 미시행(0.0%) 대비 3.2배 높았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

3 hours ago
1



![[율곡로] 주식의 여왕은 왜 퇴장할까…펠로시 지수와 펠로시법](https://img6.yna.co.kr/etc/inner/KR/2025/11/10/AKR20251110135200546_01_i_P4.jpg)


![[해외 통신원 리포트] 미국의 생물보안법 재추진과 중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대응 전략](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8558.1.jpg)
![[해외 바이오 기업] AI × 양자물리학 × 로보틱스 = 혁신적인 신약개발, 크리스털파이](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5375.1.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