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의 인공일반지능(AGI) 기술 주권 확보와 미래 사회 혁신을 목표로 지난 5월 13일 공식 출범한 한국 AGI 실현 위원회(위원장 이주석)가 27dlf AGI 시대 선도를 위한 포괄적인 국가 AI 대전략 정책 공약을 제시했다.
위원회는 'AGI 강국 실현, 대한민국 AI 이니셔티브'라는 기치 아래, 7대 핵심 분야를 포괄하는 24개 하위 부문위원회를 통해 이번 정책 제안을 마련했다.
이 과정에는 국내 주요 AI 분야 기업 및 산·학·연 전문가 그룹 100여 명이 자문 및 워킹그룹 형태로 적극 참여하여 현장의 목소리와 전문성을 반영했다.
위원회 측은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한민국이 단순한 추격자를 넘어 AI 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고, AG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통합적이고 선제적인 전략이 필수적”이라며 정책 제안의 배경을 밝혔다. 또한, “본 제안은 기술 발전뿐만 아니라, AI가 인간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고 사회 전체의 복리에 기여하며, 국민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리는 포용적 사회경제 발전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제안된 정책들은 △가 AI 전략 및 기반 △정책·거버넌스 및 규제 △인력양성 및 직능혁신 △산업경쟁력 및 민생투자 활성화 △공공·사회적 활용 △안전·보안 및 신뢰성 강화 △AI 기반 미래혁신 기술 등 7대 분야에 걸쳐 있다. 각 부문위원회는 소관 분야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구체적인 실행 목표와 로드맵을 제시했다.
주요 정책 제안으로는 국가 AI 전략 및 기반: 범정부 AI 주권 확보를 위한 초거대 AI 인프라 구축, AI 하이브리드 클러스터 및 혁신거점 '넥서스 AI 코리아(Nexus AI Korea)' 조성, 국가 데이터 주권 확립 및 AI 학습용 핵심 자산 전환, AI-양자컴퓨팅 융합 기술 선도 전략 등을 포함했다.
정책·거버넌스 및 규제로는 책임 있는 AI 윤리체계 및 사회적 포용 기반 마련, AGI 시대를 위한 유연하고 미래지향적인 AI 법제도 및 규제 프레임워크 구축 등을 제안했다.
인력양성 및 직능혁신으로는 해외 톱급 연구자 유치 및 산업 맞춤형 핵심인재 양성, 전국민 AI 리터러시 확산 및 전문가 지식 자산화 전략 등을 담았다.
산업경쟁력 및 민생투자 활성화를 위해선 제조AI 경쟁력 제고, AI 기반 공사현장 지능형 감리, AGI 기반 지속가능 스마트농업·축산 혁신, AI 유니콘 팩토리 구축, AI 스타트업 스케일업 금융 지원, AI 융합 미디어 콘텐츠 한류 2.0 전략 등을 제시했다.
공공·사회적 활용 과제로는 AI 기반 국제 정세 분석 및 정책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 공공 에이전트AI 생태계('모두가 에이전트AX') 조성, 과학융합 예측형 AI 기반 K-헬스케어 혁신, AI 네이티브 스마트시티 구현, 지역 AI 격차 해소 및 국가 균형 발전 전략 등을 내놨다.
안전·보안 및 신뢰성 강화를 위해선 AI 기술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국가 보안 및 안전관리 전략, 스마트 모빌리티 자율주행 신뢰성 확보 방안 등을 제안했다.
AI 기반 미래혁신 기술 방안으로는 물리적 AI 강국 도약, AI 융합 미래건축 실증, AI 휴머노이드 데이터 거버넌스 및 책임 규명 특별법 제정, AI 기반 국가 핵심 인프라 지능화 전략 등을 담았다.
한국 AGI 실현 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정책 제안은 100조 원 규모의 예산 확보 전략과 함께, AGI 기술 주권 확보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이라며, “제안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대한민국은 명실상부한 글로벌 AI 선도국가로 발돋움하고, 국민들은 AI 기술 발전의 혜택을 실질적으로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향후 대국민 공청회 및 전문가 토론회 등을 통해 제안된 정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되어 실질적인 국가 전략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