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시대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와 기능이 선보이고 있지만, 반대 급부로 개인정보나 민감정보의 안전한 활용과 보호가 중요한 도전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중앙대학교(총장 박상규)는 이런 급속한 AI 확산과 활용이 정보 유출이나 침해라는 부작용의 덫에 걸리지 않도록 'AI시대 데이터 프라이버시 연구와 전문인력 양성 세미나'를 29일 서울 흑석동 중앙대 102관 유니버시티클럽에서 개최해 주목을 모았다.
이번 행사는 융합보안대학원 개인정보보호 전공(석·박사 과정) 신설을 기념해 마련된 이번 행사는 융합보안대학원과 데이터프라이버시연구센터(IITP 지원), 산업보안연구소가 공동 주최했다. 특히 강원랜드, 환경공단, 승강기안전공단, 그랜드코리아레저 등 폭넓은 고객 정보 데이터를 모으고 활용하는 외부 기관과 중앙대병원이 참여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성맹제 중앙대 연구부총장은 “이번 일반대학원 개인정보보호 전공 신설을 계기로 AI 기술 활용과 보호를 동시에 견지할 수 있는 연구개발 전문 인력 양성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염흥열 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 회장도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인공지능 신뢰성과 안전성이 상호 중요한 화두로 부상될 것으로 예상하며, 관련 인력 양성과 연구라는 중요한 역할을 중앙대가 잘 맡아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발표세션에선 'AI시대 안전한 개인정보 활용을 위한 원칙 기반 규율 체계(고낙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장)', 'AI시대 가명정보 제도 정책 동향(양승설 한국인터넷진흥원 변호사)', '데이터 프라이버시 산업 현황과 미래 전망(노혜진 중앙대 겸임교수 및 LG CNS)',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인공지능(김호기 중앙대 교수)'이 이어졌다.
이후 패널토론은 배영식 중앙대 교수를 좌장으로 중앙대 교수진(민진영·이기혁 교수)과 산업계·법조계 전문가(홍영란 모비딕 대표, 손태진 법무법인 선우 변호사)가 참여해 '인공지능 시대의 데이터프라이버시와 전문인력 양성'을 주제로 심층 논의를 벌였다.
패널들은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과제가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의 균형임을 강조하며, 정부와 공공기관, 산업계, 학계 간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전문인력 양성과 실질적인 연구 협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배영식 중앙대 교수(좌장)가 민진영· 이기혁 중앙대 교수, 손태진 법무법인 선우 변호사, 홍영란 모비딕 대표(왼쪽부터) 등 패널들과 토론하고 있다.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

1 week ago
5




![[이런말저런글] 사약은 하사하는 약, 노점은 이슬맞는 점포?](https://img5.yna.co.kr/etc/inner/KR/2025/11/07/AKR20251107045500546_01_i_P4.jp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