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시스템 장애 발생시 실시간으로 대응 가능한 재해복구(DR) 시스템 도입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 시스템은 하반기 문을 열 계획인 공주 백업센터에 처음 구축되는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28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관계자는 “내달 액티브-액티브 DR 구축 시범사업을 위한 사업자 선정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사업자 선정 후 이르면 올해 말 DR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DR 구축은 지난해 초 정부가 행정전산망 장애 재발 방지책에 포함한 내용이다.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빠른 복원을 위해 주요 시스템 장비를 이중화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액티브-액티브 DR 구현 가능성을 지난해 살펴봤다.
액티브-액티브 DR은 실시간 백업 체계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무중단 서비스 제공에 최적화된 DR체계다. 다만 동일한 시스템 환경을 각기 다른 두 군데 장소에 구축해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 또 실시간 백업 체계를 구현하기 위해 두 센터가 물리적 거리가 멀어선 안 된다는 점 때문에 기업 등에서 구현한 사례가 적다.
정부는 지난해 분석한 사례를 바탕으로 국정자원 주요 시스템인 '통합운영관리시스템(nTOPS)'를 액티브-액티브 DR로 시범 구현 대상으로 선정했다.
nTOPS는 국정자원 센터 내 운영중인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전체를 총괄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이다. 장애 발생 시 중단돼선 안되는 시스템 중 하나다.
국정자원은 nTOPS를 액티브-액티브 DR로 구현해 주요 시스템 백업 사례를 확보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쌓은 노하우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정부 시스템 전반에 대한 DR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또 현재 정보시스템 구축을 준비 중인 공주 백업 전용 센터에 nTOPS 액티브-액티브 DR 시스템을 구축한다.
국정자원 관계자는 “공주 센터 내 입주하는 첫 시스템이 될 것”이라며 “액티브-액티브 DR 구현이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지난해 사전 검증 등을 통해 어떤 방식이 최적 방안인지 논의했고, 이 결과를 이번 시범사업에 적용해 실제 구현 가능성 등을 폭넓게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