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료공백 정상화, 의료계 말만 듣지 말라"…중증질환환자단체 지적

6 hours ago 2

입력2025.07.11 17:58 수정2025.07.11 17:58 지면A17

이재명 정부가 의정 갈등을 풀기 위해 의료계와의 대화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피해를 본 환자들은 소외당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11일 입장문을 통해 “새 정부가 의료계 입장만 듣는다면 의료 공백을 감내하며 묵묵히 버틴 환자의 고통은 또다시 외면당하게 된다”고 밝혔다.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복귀하려면 추가 조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료계를 향해선 “국민 생명권, 의료 공백에 대한 성찰이나 책임 의식은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식도암 췌장암 폐암 등 암 환자와 뇌전증, 루게릭병 등을 앓는 환자로 구성됐다. 이들은 지난해 의정 갈등 초기부터 환자를 외면하고 대학병원을 떠난 전공의 등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회는 “동일한 조건을 반복 제시하며 정부를 흔든 의료계 태도는 의료대란의 본질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자성이나 사과 한마디 없는 의료계 태도를 새 정부도 암묵적으로 동의하는가”라고 따져 물었다.

연합회는 ‘환자안전법’을 통해 환자 생명권을 보호하고 ‘환자기본법’을 정비해 환자의 참여권, 알 권리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사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의정 갈등 재발 방지법’을 마련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날 대학병원 교수들로 구성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가을턴’(9월 시작하는 전공의 수련)에 전공의들이 대거 복귀할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성명을 냈다. 이들은 정부에 “전문의료인력 양성 재개를 위해 합리적 행정을 시행해달라”고 요구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오는 19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어 대정부 요구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