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협 설립 1년 만에 회원기관 500개 눈앞…전국단위 협력체계 구축

1 month ago 6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NISPA, 이하 정보협)가 출범 1년여 만에 회원기관 500개에 달하는 전국 단위 협력체계로 성장했다.

9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정보협은 지자체 현업 담당자 중심의 교류 네트워크를 넘어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주요 기반시설 기관 등 474개가 참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공공 정보보호 협력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정보협은 지난해 10월 16일 전국 지자체 현업 담당자 간 정보보호·개인정보 분야 정책 교류와 네트워크 구축을 목적으로 설립된 이후 중앙부처와 공공기관 부문까지 참여가 확대됐다.

현재 전국 17개 시·도 광역단체 대부분이 가입했으며, 220개 기초지자체 중 절반을 훌쩍 넘는 120여 곳이 참여하고 있다. 준정부기관·공기업은 131개, 지방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은 205개가 가입해 총 474개 기관이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행정기관뿐 아니라 에너지·교통 기반시설, 금융기관 등 주요 분야까지 가입이 이어졌다. 지난 9월부터는 중앙행정기관도 본격 참여를 시작해 협력 네트워크로 외연이 확대되고 있다.

정보협은 공공 분야 최초의 전국 단위 협력체계로서 정책·기술 공유 플랫폼을 마련하고 민·관·산·학 협력 구조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공동으로 '제1회 개인정보정책 세미나'를 개최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보호정책포럼'을 진행했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와 업무협약도 체결, 공공·민간 맞춤형 교육설계와 제공을 위한 협력 기반을 확보했다.

김완집 정보협 회장은 “AI 기반 사이버공격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보안 인력과 예산은 부족한 반면, 정보보호 책임성은 높아지고 있다”며 “보안업무 공유체계 부재, 수준별 교육·훈련 미비, 담당자 권한 제약 등이 협의체 수요를 급증시킨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8월에 열린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운영설명회 모습.지난 8월에 열린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운영설명회 모습.

정보협은 내년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자유롭게 협력할 수 있는 정보보호·개인정보보호 교류의 장을 본격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분과별 분과장 체계를 도입해 운영조직 활성화 △중앙부처·산업계·학계 간 정책·기술 공유 강화 △수준별 맞춤형 교육체계 구축 △포럼·컨퍼런스 등 전국 단위 보안 행사 참여 확대 등을 추진한다.

오는 11월 말 열릴 정기총회에서는 부회장 선임을 통해 공공분과·산학분과·교육분과로 나눠 조직을 체계화한다. 산업과 학계 협력도 강화해 정기·수시 간담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 회장은 “중앙부처 간 정책과 제도를 정기적으로 공유하는 체계를 활성화하고, '쉬운 공공기관 업무매뉴얼' 제작을 건의하겠다”며 “간단 실무안내서 발간, 공공부문 우수사례 발표대회 개최 등도 추진해 정보보호·개인정보 분야 법령 및 제도 건의 창구로서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