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리헤인(Chris Lehane)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 책임자(Chief Global Affairs Officer)“인공지능(AI)은 전기처럼 국가를 움직이는 기반이 될 것입니다. 한국은 그 '지능의 전기망'을 깔 준비가 돼 있습니다.”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책임자(CGAO)은 23일 서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를 '국가 인프라 기술', 즉 21세기의 전기망으로 규정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AI는 인간의 신체 능력을 확장시켰던 전기처럼 인간의 지능 생산성을 폭발적으로 확대하는 기술”이라며 “한국은 반도체, 인프라, 인재, 문화력 등 AI 시대의 핵심 자산을 갖춘 나라”라고 평가했다.
오픈AI는 이날 '한국에서의 AI: 경제 청사진'을 발표하고, 한국이 세계 AI 생태계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리헤인은 한국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AI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약 1700만명의 한국인이 챗GPT를 사용하며 이는 전체 인구의 3분의 1 수준이다. 서울은 오픈AI의 영상 생성 모델 '소라' 사용량이 세계 1위로, 기술적 이해력과 창의성을 동시에 갖춘 국가로 꼽았다.
리헤인은 “AI 인프라는 전기처럼 모든 국민에게 균등하게 제공돼야 한다”며 “한국은 이를 실현할 역량을 갖춘 나라”라고 말했다.
오픈AI가 제안한 핵심 전략은 '듀얼 트랙' 접근법이다. 하나는 한국어와 현지 데이터, 가치체계를 기반으로 한 자국형 생태계인 '소버린AI', 다른 하나는 글로벌 프런티어 개발사와 협력해 세계 시장으로 기술을 확장하는 방식이다.
크리스 리헤인(Chris Lehane) Open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 책임자(Chief Global Affairs Officer)그는 “이 두 축이 병행될 때 한국은 단순한 기술 수용국이 아닌 AI 표준 제시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함께 AI를 국민 생활의 기반 인프라로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픈AI는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과 함께 한국 내(전남·포항) 데이터센터 모델을 설계 중이다. 이른바 '한국판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다.
리헤인은 한국 내 데이터센터 구축이 단순한 시설 건설이 아니라 AI 산업 생태계의 수출·혁신·생산성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AI 인프라 구축은 전기망·철도·도로와 같은 거대 산업으로, 반도체와 메모리 기업에는 글로벌 공급망 진출 기회가 되고, 국내에서는 산업별 혁신 허브 역할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는 데이터센터 완공 이후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컴퓨팅 접근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리헤인은 “이미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업 경험이 있으며,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스타트업이 저렴한 비용으로 AI 연산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AI 규제 방향에 대해 안전성·접근권·경쟁력 세 가지 균형을 강조했다.
리헤인은 “AI는 일부만의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되며, 정부 데이터 활용과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국민 전체가 생산성 향상 효과를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AI 경쟁은 에너지·칩·데이터·인재 경쟁이며, 이 네 가지 전략 자산을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지속가능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2 weeks ago
8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