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척동에 들어설 미래산업 집적공간 '서울 테크 스페이스(서울창업허브 구로)' 조감도. 서울시 제공서울시가 민간 우주산업 발전과 기술 혁신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우주산업 육성을 본격화한다.
서울시는 28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KT SAT 등 민간기업과 학계·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우주산업 발전협의체'를 출범, 서울형 도시 기반 우주산업 전략 논의를 시작했다. 바이오·로봇·양자에 이어 우주를 미래 핵심산업으로 편입하는 첫 단계로, 2030년까지 단계별 실행계획을 수립·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첨단기술 융합 역량과 민간 혁신 생태계 중심 새로운 우주산업 모델을 구축한다. 인공지능(AI)·바이오·로봇·반도체 등 첨단기술과 데이터 기반 산업 생태계를 조성, 우주산업을 핵심 성장동력으로 산업·연구·주거·상업 등 다양한 기능을 융합해 서울을 민간 주도 '도시형 우주경제'로 도약시키겠다는 전략이다.
경쟁력과 잠재력은 충분하다. 국내 우주산업 관련 기업 469개 중 150개(32%)가 서울에 위치하며 이들 기업 매출(1조704억원)은 국내 전체 우주산업 매출(약 3조2000억원)의 33%를 차지한다. 전문인력도 2030명으로 전체의 약 25%에 수준이다.
서울은 첨단기술 기반 우주산업 응용 분야에 특화돼있다. '2025 서울시 우주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소재 우주기업 중 71%는 위성데이터 활용, 20%는 파생산업, 9%는 위성체·발사체 제작 등으로 조사됐다.
시는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산·학·연·관 협력 기반 민간주도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우주산업 인프라 조성, 우주기업 성장지원,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3대 중점 전략으로 추진한다. '뉴 스페이스 시대 글로벌 우주산업 중심도시 서울' 구현이 목표다.
우선 서울창업허브 구로를 첨단제조·창업지원 기능 기반 미래산업 집적공간 '서울 테크 스페이스'로 조성하고 우주산업 융합 컨설팅과 서울형 R&D 등으로 우주기업 성장을 지원한다. 54개 대학과 글로벌 기업 중심 실무형 인재양성 등 전문인력 공급체계도 마련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서울은 국내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 혁신기업이 집적된 도시로 데이터 기반 도시형 우주산업 성장 잠재력이 크다”며 “산·학·연과 데이터·서비스 중심 민간 주도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기업과 인재가 함께 성장하는 우주경제 도시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1 week ago
7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