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스마트 라이프 위크', AI·로봇·지속가능·글로벌 등 망라

1 month ago 10
스마트 라이프 위크(SWL)가 이달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서울시 제공스마트 라이프 위크(SWL)가 이달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사흘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30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에서 '스마트 라이프 위크(SWL) 2025'를 개최한다.

올해 2회째를 맞는 이번 행사는 80개국 121개 도시와 330개 기업·기관이 참여한다. 규모가 두 배 가까이 증가했고 전시 면적도 지난해 대비 72%(1만2572㎡) 늘어나는 등 글로벌 교류의 장으로 도약한다.

핵심 전시는 '인공지능(AI) 쇼룸'이다.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부터 밤에 잠들기까지 하루 일상 흐름을 따라가며 AI가 생활 전반을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준다. 스마트홈 학습 서비스, AI 은행원, 방송 취재용 AI 로봇, 무인 자율차 등 다양한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다.

'21:00 지속가능존'에서는 디지털 트윈과 AI로 구현한 용산국제업무지구 스마트시티의 미래를 확인할 수 있다. 에너지 절약, 교통 최적화, 스마트 물류, 환경 관리가 통합 적용된 첨단도시 운영방식을 공개한다.

올해 처음 신설된 로봇 전시·체험관은 시민들이 AI 로봇의 진화를 직접 보고 즐길 수 있는 대표 콘텐츠다. 국제 로봇 스포츠 경기 '휴머노이드 로봇 스포츠대회'를 통해 양궁, 스프린트, 역도, 비석치기 등 실제 스포츠 종목을 로봇이 수행할 예정이다.

CES 혁신상을 수상한 약자 돌봄 로봇, 웨어러블 재활 로봇, 재난 대응 로봇, 우주·수중 탐사 로봇 등도 만나볼 수 있다. 국내 60여개 로봇 기업과 약자동행 기업이 참가해 로봇이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고, 인간 한계를 극복하는 동반자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 사족보행 로봇 시연도 준비돼 있다.

또 IBM, 알리바바, 딥로보틱스, MIT, 케임브리지대학 등이 최첨단 AI 기술을 전시하는 글로벌관을 운영한다. 자율주행과 도심항공교통(UAM) 등 모빌리티의 미래, 신형 무인 역사 시스템과 교통약자 친화형 서비스를 선보이는 지하철의 미래 등 주제별 전시관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미래상을 제시한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후테크 콘퍼런스'에 윤순진 서울대 교수, 정무성 현대차 정몽구재단 이사장이 연사로 나서 탄소중립과 지속가능한 미래 전략을 논의한다.

30일 개막식에는 세계 각국 시장단을 포함한 유명 인사 200여명이 참석한다. 축하공연은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 '라피드아이'가 시공간을 넘나드는 퍼포먼스를 준비하고 있다. 16개 포럼과 콘퍼런스에 데니스 홍 UCLA 교수, 카를로 라티 MIT 교수, 케임브리지대 연구진 등 세계적 석학도 참여한다. 전시장 입구에서는 LED 큐브로 역동적 빛과 영상을 연출한 '터널형 키네틱 미디어파사드'가 관람객을 맞는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올해 SLW는 단순한 전시회가 아니라, 시민이 직접 AI 시대의 하루를 체험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로봇 산업, 기후테크 혁신까지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라며, “명절 연휴를 앞두고 가족과 친구와 함께 즐기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