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규 래블업 대표가 24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테크 콘퍼런스'를 열고 기조발표를 하고 있다. ⓒ박종진기자“래블업은 형태와 스케일에 상관없이 (기업의) 특정 지능 요구를 충족하는 솔루션과 결과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진화해나갈 것입니다.”
신정규 래블업 대표는 24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테크 콘퍼런스를 열고 “인공지능(AI) 시대에는 마력·전력에 이어 지적 노동을 계량화할 수 있는 '지능 요구량'의 시대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AI가 사람의 창작·지적 활동을 대체하면서 노동의 가치를 정량화할 수 있게 되고, AI 노동 관련 프레임워크 수립을 통해 기존에 사람이 하던 일을 효율화·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래블업이 '백엔드.AI'로 대표되는 AI 최적화 솔루션 지원으로 기업의 사업 전략 방향성이다.
신 대표는 “우리가 수능을 보고 학력이 생기고 (기업에서는) 면접, 경력 등을 보는데 간접적인 지능 요구량이라고 볼 수 있다”며 “스타트업의 경우에도 창업하고 사업화하기 위해 어느 정도 수준의 지능이 요구되는데 아직은 계량화할 수 없어서 좋은 사람과 함께하는 것으로 충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에는 정량화할 수 없는 지능 요구량을 이같은 간접 방식으로 해결했지만, AI 에이전트와 범용 AI(AGI) 등으로 업무 등 사람의 일에 AI 활용이 본격화되면 기업과 연구 등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지능 수준이 정량화될 것이라는 관점이다.
신 대표는 “래블업은 앞으로 10년간 지능 수요를 정량적으로 공급하는 기업으로 변혁할 계획”이라며 “(기업 등에서) 필요로 하는 지능 수준을 초·중·고급 등 세분화해 필요한 만큼 맞춤형 지능을 AI 기반 제공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24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래블업 테크 콘퍼런스가 열리고 있다. ⓒ박종진기자래블업은 핵심 서비스인 AI 인프라 플랫폼 '백엔드.AI'를 비롯해 대규모 분산 시스템을 통합 관제하는 '컨티뉴엄'이나 미디어를 생성하는 멀티모달 창작 플랫폼 '에이아이돌(AI:DOL)' 등 신규 솔루션과 추론을 위한 고성능 AI, 종합 언어 모델 플랫폼 등 다양한 AI 솔루션으로 업무 효율화·최적화를 이끈다.
김준기 래블업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인프라 기술과 서비스는 슈퍼컴퓨터, 빅데이터, 그래픽처리장치(GPU) 가속, 클라우드 등 모든 분야를 망라하고 집대성해야 한다”며 “래블업은 실질적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연산 단계별 성능·특성·레버리지 극대화와 비용 절감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날로 복잡해지는 AI 인프라 기술을 고려, 다양한 구조와 크기의 모델을 훈련·추론하고, 폐쇄망과 클라우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MLOps, 개인화 도구화된 생성형 AI 서비스 등 백엔드.AI의 강점인 가속 기술 수직 통합과 최적화도 지원한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1 month ago
10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