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 “웹3·AI 융합으로 미래 데이터 주권 선도”

1 month ago 12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

“웹3·인공지능(AI) 융합을 통한 초연결 인증 플랫폼 기업으로서 미래 데이터 주권을 선도하겠습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2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해커톤' 모두발언에서 회사의 비전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데이터 주권은 디지털 사회에서 인류의 기본권이며, 출생부터 노년까지 생애 전 주기를 아우르는 디지털 신원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데이터 주권을 전제로 하는 '소버린 AI' 역시 웹3와 AI의 융합에서부터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웹3는 AI의 빅데이터 독점과 악용 우려를 완화하고 신뢰 기반 프레임워크를 완성하는 역할을 하고, AI는 탈중앙 환경의 웹3가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보완하는 상호 보완적 관계”라며 “두 기술의 융합이 새로운 신뢰 체계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웹3·AI 기반 초연결 플랫폼 서비스 로드맵도 공개했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인증 기술을 토대로 웹3 생태계를 확장하고, 정보보호 통합 솔루션과 AI 기술을 결합한 보안·인증 서비스를 통해 정보보호 산업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체불가토큰(NFT)·스테이블코인 등 웹3 토큰경제 플랫폼 △분산신원인증(DID)과 AI 기반 의료·교육·공공·금융 데이터 플랫폼 △양자내성암호(PQC) 및 영지식증명(ZKP) 기반 디지털 인증 플랫폼 등 다양한 초연결 플랫폼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라온시큐어는 소버린 AI 시대의 핵심인 데이터 주권 확보에 앞장서고, 지속적인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디지털 신뢰 인프라 구축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