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번째 현금 바우처 지급이 시작되면서 정부 기관을 사칭한 사기 범죄가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사기범들은 전화, 이메일,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접근하며, 수신자의 이름이나 주소 등 개인 정보를 활용해 신뢰도를 높인 뒤 민감한 개인정보나 금융 정보를 빼내는 수법을 쓰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국민들에게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았을 경우 반드시 확인 절차를 거치고, 행정안전부 등 공식 채널을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현재 서프샤크 한국지사장는 “정부 기관을 사칭한 예상치 못한 연락은 무조건 의심해야 하며, 발신자의 이메일 주소를 꼼꼼히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한국인터넷진흥원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국내에서 탐지된 인터넷 해킹 사건은 약 1만6000건에 달했으며, 이 중 90%가 악성코드 은닉 사이트 탐지와 관련돼 있다. 전문가들은 2차 바우처 지급 과정에서 사기범들이 더욱 정교한 방식으로 정부 관계자를 사칭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특히 공식 웹사이트를 모방한 가짜 링크를 통한 피싱 사기가 대표적이라고 지적한다. 피해자가 이를 클릭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되거나 금융 정보를 요구하는 가짜 양식으로 연결돼 금전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서프샤크가 발표한 연간 디지털 삶의 질 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인터넷 접근성, 품질, 전자 인프라, 전자 정부 등 분야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지만, 전자 보안 분야에서는 121개국 중 31위에 그쳤다.
이 지사장은 “한국의 기술 발전 수준에 비해 낮은 전자 보안 순위는 우려할 만한 일”이라며 “사이버 보안은 국가적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하며, 국민 개개인에 대한 온라인 보안 교육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

1 month ago
9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