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범정부 인프라 개편안' 이달 나온다...국정자원 사태 후속조치 속도전

1 month ago 6

단독'범정부 인프라 개편안' 이달 나온다...국정자원 사태 후속조치 속도전

지난달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4일차 현장 감식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지난달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4일차 현장 감식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 후속 대책인 '범정부 인프라 개편안(가칭)' 초안이 이달 말 나온다.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비롯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국가정보원 등 정부부처와 산업 전문가까지 실질적 대책을 집행·지원할 실무자가 머리를 맞댄다.

1일 정부 등에 따르면 국가AI전략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오후 위원회에서 'AI 인프라 거버넌스·혁신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열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국정자원 화재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거버넌스를 포함한 구조적 문제 해결 방안을 국가AI전략위원회가 총괄해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TF는 이의 연장선으로 조직됐다.

위원회는 TF를 중심으로 정보통신 기반 시설 전반을 조사, 장·단기 대책을 포함한 AI 시대 국가 디지털 인프라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1차적으로 이달 말까지 초안을 작성, 가다듬어 다음달 대통령에게 최종 보고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TF는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겸 인공지능책임관(CAIO) 협의회장과 정재웅 아토리서치 대표(기술혁신·인프라 분과위원)가 공동리더를 맡았다.

TF 구성원으로는 국가AI전략위원회 관계자를 비롯해 정부기관, 인프라·클라우드 분야 여러 전문가가 참여해 국가 디지털 인프라 구조 개선책을 논의한다.

우선 행정안전부를 비롯해 과기정통부, 기재부, 국정원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에서 핵심 인력이 참여, 대책 마련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민간에서는 3년 전 이번 국정자원 화재와 동일한 형태의 사고를 겪은 카카오에서 시스템 이중화·삼중화 등 인프라 대책을 마련한 고우찬 카카오 인프라기술 성과리더가 참여한다.

카카오 역시 3년 전 이번 국정자원 화재와 동일하게 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발생했다. 카카오톡 등 여러 서비스 장애가 최종 복구되기까지 닷새가 걸렸다. 데이터 이중화는 돼 있었지만, 시스템 전체 관점에서 이중화가 부족해 서비스 '먹통'이라는 최악 상황을 빚었다.

고 리더는 당시 카카오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를 총괄했다. 고 리더가 이번 TF에 참여하게 된 것도 시스템 이중화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한 만큼 실질적 대책을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고 리더 외에도 네이버클라우드, 더존비즈온, 오케스트로클라우드 등 주요 클라우드 업계와 학계 전문가가 TF에 참여한다.

업계 관계자는 “2년 전 정부 전산망 장애 당시 발표된 정부 대책은 기존(온프레미스) 인프라 개선에 집중됐다”며 “이번 대책은 클라우드 이해도가 높은 인력이 다수 투입되는 만큼 공공 인프라 전반에 민간 클라우드를 본격 도입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