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나무기술 제공]나무기술이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한 '클라우드 빅 테크 2025'에서 기업 맞춤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전략을 공개했다.
나무기술은 전시 부스에서 엔터프라이즈 AI 에이전트 플랫폼 '나무 AI 에이전트'를 선보였다.
이 플랫폼은 문서 기반 검색·생성(RAG) 챗봇을 통해 핵심 정보를 도출하고 전문 보고서를 자동 작성해 업무 효율을 높인다. 부서·업무별 워크플로우 지원 기능에 더해 최신 AI 연결 표준인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MCP)과 기존 응용 프로그램 연동 규격(API)을 활용해 기업 내부 시스템과 유연하게 통합할 수 있다. 특히 한국어 보고서 작성과 데이터베이스 활용에 최적화된 자체 소형 언어모델(SLM)을 적용해 기업 현장 활용성을 높였다.
발표 세션에서는 고우주 나무기술 최고AI책임자(CAIO) 상무가 '사용자 중심의 소버린 AI: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전략'을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데이터 주권 확보와 사용자 경험 강화를 위한 기반으로 △스케일 어크로스(Scale Across) 확장 구조 △분산 데이터 패브릭 △네오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제시했다. 이어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AI Ops(AI 기반 IT 운영) 환경을 결합해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를 아우르는 분산형 AI 서비스 구현 방안을 설명했다.
나무기술은 GPU 인프라, 데이터 서비스, AI Ops 환경을 나무 AI 에이전트와 결합해 풀스택 AI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업 환경 전반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산 AI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1 month ago
9




![[이런말저런글] 사약은 하사하는 약, 노점은 이슬맞는 점포?](https://img5.yna.co.kr/etc/inner/KR/2025/11/07/AKR20251107045500546_01_i_P4.jpg)











![닷컴 버블의 교훈[김학균의 투자레슨]](https://www.edaily.co.kr/profile_edaily_512.pn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