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모스크바에서 푸틴·트럼프·시진핑·김정은 4인이 모일 수도

1 month ago 3

“강한 자는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약한 자는 당해야 하는 것을 당한다.” 기원전 416년 아테네의 침공을 당한 멜로스 섬의 지도자들이 항의하자 아테네 지도부가 한 대답이다. 오래전 이야기지만 요즘에 와닿는다. 서방 세계 전체가 러시아의 부도덕성을 규탄하는 가운데 트럼프가 3년을 끌어온 전쟁을 단박에 끝내려는 최근 상황에 맞는 것 같기 때문이다.

지난 25일 미국과 러시아가 흑해 평화 협정에 조건부로 합의했다. 러시아는 자국의 농산물 수출을 위해 국영 농업은행에 대한 금융 제재를 풀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미국은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우크라이나와 유럽이 반발하지만 미국 정부는 지난 1월 작성한 100일 로드맵을 일사천리로 진행하고 있다. 로드맵의 1단계는 3월까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셔틀 회담 진행, 2단계는 4월 20일 휴전 발표 및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 철수, 3단계는 국제 평화 콘퍼런스 후 5월 9일 종전 선언이다. 정작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배려는 거의 없다.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30일 전면 휴전에 합의했지만 우크라이나 군대에 회복할 기회만 주는 휴전은 안 된다는 러시아의 반발 탓에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으로 축소됐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