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정부시스템 마비] 항온항습기 수급 착수 ...복구 체제 전환

1 month ago 15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사진= 전자신문 DB]국가정보자원관리원. [사진= 전자신문 DB]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된 가운데 행정안전부가 현장 온도 안정화를 위한 '항온항습기' 수급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방위 복구 체제로 전환하면서 작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7일 IT 서비스 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이날 오후 21시께 항온항습기 공급 업체가 화재 현장을 찾는 것으로 안다”며 “이보다 앞서 저녁부터 (항온항습기) 부품 수급이 이뤄졌고, 이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항온항습기는 화재 현장 내부 열기를 낮추고 시스템 재가동 환경을 마련하는 핵심 장비다.

행안부는 항온항습기 확보와 함께 본격적인 복구 체제에 돌입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이날 오후 8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27일 중 항온항습기 복구를 마치고,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 복구를 완료하라”고 지시했다.

복구 우선순위도 정해졌다. 행안부는 화재 피해를 보지 않은 시스템부터 재가동하기로 했다. 국민 안전, 재산권, 경제활동과 직접 연관된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하고, 중요도와 등급에 따라 차례대로 복구를 진행한다.

앞서 행안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관계 부처와 합동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 상황총괄반, 업무연속성반, 장애조치반을 편성해 현장 상황 파악과 조치에 집중하고 있다.

화재 피해는 집계되고 있다. 국정자원 7-1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이 직접적인 물리적 피해를 본 것으로 파악됐다. 행안부는 내부 가용 자원을 활용해 이들 시스템을 이전 복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윤호중 장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배터리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진행한 작업이 사고로 이어져 안타깝다”며 “국민 안전과 재산 보호, 경제 활동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26일 화재 발생 직후 위기경보 '경계'를 발령했으며, 국민신문고·모바일 공무원증 등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총 70개 서비스 장애 사실을 알린 바 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Read Entire Article